직장인 5명 중 2명 스스로 "나는 '쉼포족'"...휴가 못 가고, 아파도 출근해야 할 때
직장인 5명 중 2명, "나는 쉼포족" /사람인
직장인 5명 중 2명은 스스로 쉬고 싶어도 쉬지 못해 쉬는 걸 포기한 이른바 '쉼포족'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사람인이 직장인 917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쉼포족이라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39.5%가 '그렇다'고 답했다.
스스로 쉼포족이라고 한 응답자는 결혼한 여성(46%)이 기혼 남성(38.8%)이나 미혼 여성·남성(38.3%)보다 많았다.
쉼포족이라고 느끼는 순간으로는 '휴가도 마음 편히 갈 수 없을 때'(59.1%, 복수응답), '아파도 쉬지 못하고 출근할 때'(58.8%)가 가장 많았고, '야근이 계속 이어질 때', '퇴근 후에도 업무 연락이 올 때', '식사도 걸고 일해야 할 때', '퇴근 후 집에서 업무할 때', '명절 등 연휴에도 출근해야 할 때', '퇴근 후에도 육아 등 집안일을 해야 할 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휴식을 포기한 이유로는 '업무가 너무 많아서'(57.5%,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회사, 상사의 눈치가 보여서',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야근이 당연시되는 분위기라서', '실적, 성과에 대한 압박 때문에', '다들 바쁘게 일만 하는 것 같아서', '육아와 병행하려면 어쩔 수 없어서' 등의 이유가 나왔다.
쉼을 포기하는 것이 삶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피로 쌓여 건강에 악영향 미침'(73.5%, 복수응답)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로 인해 예민해짐', '이직 및 퇴사를 고려하게 됨', '애사심이 저하됨', '업무 능률 저하됨', '직종, 업종 전환을 고려하게 됨', '우울증이 생김'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몸이 아파도 참고 출근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무려 89.2%에 달했고, 그 이유로는 '대신 일할 사람이 없어서'(52.8%,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 상사의 눈치가 보여서', '동료들에게 피해가 갈 것 같아서', '해야 할 업무가 너무 많아서', '꼭 그 날 해야 할 일이 있어서', '다들 참고 일하는 분위기라서' 등의 순으로 답했다.
아파도 참고 출근 후 회사에서 어떤 일을 겪었는지 물은 결과, 68.8%(복수응답)가 '업무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을 경험했다'고 답했고, 이어 '병을 더 키웠다', '업무 중 실수가 잦아졌다', '결국 조퇴를 했다', '주변에 짜증을 냈다' 등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