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남북정상회담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공식수행원 역할을 할 조명균 통일부장관, 강경화 외교부장관도 관련 보폭을 넓히고 있다.
23일 관련부처에 따르면 조명균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의 한 식당에서 7대 종단 지도자들과 조찬간담회를 갖고 "(오늘) 봄 가뭄을 해소하는 비가 내려서 판문점 정상회담이 푸른 자연 속에서 하는 정상회담이 될 것 같다"면서 "기운을 잘 담아서 여름으로 가는 계절의 변화처럼 남북정상회담에서 남북관계도 그런 식으로 변화될 수 있게 잘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어 "대통령님은 (남북) 민간교류 중에서도 종교교류가 앞장서야 하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고 여러 번 강조하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원래 이런 자리를 대통령님이 직접 하시려고 생각하셨는데 일정상 불가피해서 저보고 꼭 모시고 좋은 말씀 듣고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진행되고 있는 것을 잘 설명해 드리라고 당부가 있으셨다"고 덧붙였다.
이날 조 장관과의 조찬간담회에는 김희중 대주교를 비롯해 설정 조계종 총무원장, 한은숙 원불교 교정원장, 김영근 성균관장, 이정희 천도교 교령, 박우균 한국민족종교협의회장 등이 참석했다.
강경화 장관은 이날 외교부 트위터에 게재한 영문 영상메시지를 통해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은 진실로 역사적인 행사로, 한국인들의 간절한 소망인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또 "이는 세계 평화에서도 커다란 진전을 의미하게 될 것이다. 여러분들의 힘찬 응원과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날 영상에서 "전 세계 트위터 팔로워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대한민국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다. 저는 한반도에서 역사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을 여러분께 알려드리고자 한다"며 말을 꺼냈다.
그러면서 "올해 평창 동계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대단히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었던 데 대해 여러분께 매우 감사드린다. 전 세계 많은 분의 열정적인 참여와 지지가 없었다면 이러한 성공을 거둘 수 없었을 것"이라며 "이번 올림픽은 동계 올림픽 역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또 오랜 기간 지속된 긴장을 깨고 남북대화에 시동을 거는 계기가 되었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과 강 장관은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정원장, 송영무 국방부장관과 함께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을 수행하게 된다.
이들 장관 행보와 별도로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는 이날 수전 손턴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지명자)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만나 남북·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대북정책을 조율했다.
윤 차관보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손턴 차관보 대행의 방문은 이 역사적 시기에 양국의 정책 조율을 강화하는 데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턴 차관보 대행은 협의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좋은 (정책) 조율을 했다"며 "북한 현안이 나왔고, 모든 다른 종류의 양자 현안을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협력은 빈틈이 없다(seamless)"고 밝힌 뒤 "우리는 동일한 입장(on the same page)"이라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 등에서 한미 간에 이견이 없음을 확인했다.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외교부 청사에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한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진행했다. 지난 11일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의 후속조치로 이뤄진 가나스기 국장의 이번 방한에서 일본 측은 미일 정상회담 결과를 공유하고, 우리측은 남북 정상회담 준비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통일부는 지난 주말 북한이 폐기하겠다고 밝힌 풍계리 핵실험장에 대해 "지금도 사용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듣고 있다"며 "그런 핵실험장 폐쇄를 자발적으로 결정한 것에 대해 평가한다"고 밝혔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풍계리 핵실험장의 용도와 사용 가능 범위와 관련한 질문에 "풍계리에서 6번의 핵실험이 있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