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시행 근로시간 단축에, 기업 64% 경영·생산 영향받아 /사람인
오는 7월부터 현행 주당 68시간이던 근로시간이 52시간으로 단축되는 법안이 시행된다. 법안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근로 체계를 변경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의 64%는 근로시간 단축이 경영과 생산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은 기업 559개사를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 영향'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영향은 '대기업'(71.4%)이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견기업'(64%), '중소기업'(63.6%) 순으로 답해 규모가 클수록 근로시간 단축 영향을 크게 받을 전망이다.
이들 기업들은 '인건비 상승'(51.1%, 복수응답)을 가장 큰 영향으로 꼽았다. 이어 '생산량 저하'(26%), '근로자간 형평성 문제 발생'(25.1%), '서비스 운영시간에 차질 발생'(20.4%), '직원의 업무 효율성 저하'(17.3%), '물품 발주 기한에 차질 발생'(17%), '새로운 근무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비용 발생'(16.8%), '대외 및 타회사 협력 업무에 차질 발생'(15.1%) 등의 순서였다.
대부분의 기업(95.3%)은 대응책을 고려하고 있었고, 대응방안으로는 '불필요한 업무 감축'(48.6%,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집중 근무시간 운영'(34.1%), '인력 추가 채용'(26.3%), '유연근무제 실시(26%), '회의, 업무보고 간소화'(16.2%), '생산 및 판매 물품 가격 인상'(11.7%), '일부 업무 전문 업체에 위탁'(8.1%), 'AI(인공지능) 등 설비 기계화 도입'(7%) 등의 의견이 있었다.
근로시간 단축이 신규채용에 주는 영향으로는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49%로 가장 많은 가운데, 29.3%는 '늘 것'이라고 답했고,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도 21.6%로 조사됐다.
한편 기업의 절반 이상(61.5%)는 직원들의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을 위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기업이 시행하고 있는 제도는 '정시퇴근제'(53.5%, 복수응답)였다. 이밖에 '자율출퇴근, 시차출퇴근 등 유연근무제'(20.3%), '패밀리데이 등 조기퇴근제'(15.4%), '리프레쉬 휴가제'(14.5%), '근무시간 외 메신저 업무지시 금지'(9.6%), '주간 근로시간 법안보다 단축'(8.4%), '사내 휘트니스, 수면실 등 제공'(7%)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