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고2 대입 전략] 수시 77.3% 역대 최대… 서울 주요대는 논술 줄고, 정시 확대

"상위권 수험생은 수능 비중 커져, 중하위권은 학생부 위주 전략 필요"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치를 2020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비율이 역대 최대 규모인 77.3%로 확정됐다. 하지만 서울 주요대 정시 선발인원은 전년보다 증가해 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영향력은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장호성 단국대 총장)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국 198개 4년제 대학의 '2020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1일 발표했다.



◆ 2020 대입 수시 77.3%, 역대 최고

2020학년도 대입 전체 모집인원은 34만7866명으로 전년보다 968명 감소한 가운데, 학생부 위주 전형인 수시모집 선발 인원은 26만8766명(77.3%)로 전년보다 1.1%p 증가했다. 수능 위주 전형인 정시모집 선발인원은 7만9090명(22.7%)로 낮아졌다. 수시모집 비중은 지난 2007학년도에 51.5%로 정시모집 비율을 처음으로 앞지른 이후 지속 상승 추세다.

학생부 위주 선발비율은 2018학년도 63.9%, 2019학년도 65.9%에 이어 2020학년도에 67.1%로 매년 증가 추세다. 현 고2가 치르는 내년 입시의 학생부 위주 선발 비율은 올해보다 1.2%p 확대된다. 전체적으로 수시모집 인원 중 86.5%는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정시모집 인원의 87.6%는 수능 위주 전형으로 선발한다.

공정성 논란이 제기되는 학생부종합전형선발인원은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 2020학년도 학종 선발인원은 8만5604명(24.6%)로 전년보다 0.2%p 높아졌다. 서울 주요 15개 대학 학종 비율도 2019학년도 43.6%에서 2020학년도 43.7% 다소 증가했다.

수도권 주요 대학 위주로 33개 대학이 뽑는 논술 위주 전형 모집인원은 전년(1만3310명) 대비 1164명 감소한 1만2146명이다. 논술전형을 치르는 수도권 대학은 가톨릭대, 건국대, 경희대, 광운대, 단국대, 덕성여대, 동국대, 서강대, 세종대 등이고, 지방대 중에서는 경북대, 부산대, 울산대 등이 논술전형을 치른다.

농어촌학생과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사회적 약자 대상의 고른기회전형 선발인원은 4만6327명으로 전년대비 2956명(0.9%p↑) 더 뽑고, 지역인재의 대학입학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인재전형도 83개교에서 1만6127명을 선발해 규모가 확대된다.

◆서울 주요대 정시확대, 수능 중요성 커져

서울지역 주요대학들의 논술전형은 감소한 반면, 정시모집 인원은 확대돼 상위권 학생들의 수능의 중요성이 커졌다. 대학별 수시모집 이월인원을 감안하면 수도권 주요대의 정시모집 최종 선발인원은 40%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서울지역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인원이 크게 증가했다. 서울지역 주요 10개 대학의 2020학년도 정시모집 선발인원(정원외 포함)은 1만552명으로 전년(9238명) 대비 14.2%나 늘었다. 일부(동국대, 숙명여대, 홍익대) 대학은 오히려 정시 선발비중이 전년보다 줄었다. 지방 소재 대학의 정시 선발인원은 2019학년도에 4만4714명에서 2020학년도엔 3만9756명으로11.1%(4958명)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서울지역 주요대를 지원하는 상위권 수험생은 수능 위주로, 중위권과 지방 소재 대학을 지원하는 수험생들은 학생부 위주 전략이 필요한 셈이다.

주요 10개 대학의 논술 선발인원은 전년대비 804명(15.7%) 감소했다. 대학별 논술 선발인원을 보면, 성균관대 363명, 이화여대 127명, 서강대 111명, 중앙대·경희대 각 56명, 한국외대 53명, 연세대 36명, 한양대 2명 등으로 각각 감소했다. 서울대와 고려대는 논술고사를 치르지 않는다.

수시모집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연세대가 전체 전형에서 폐지했고, 서강대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한국외대는 학생부교과전형에서 폐지했으나, 나머지 주요 대학들의 수시모집 수능최저는 전년과 같은 기조로 유지하기로 했다.

결국 중위권과 지방 소재 대학의 경우 학생부 비중이 커졌고, 상위권 수험생이 치르는 수도권 주요대의 경우 수능 비중이 확대됐다. 특히 수시모집 이월인원을 감안하면 정시모집 인원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18학년도 서울지역 주요대학의 정시모집 최종 선발 인원은 수시모집 이월 인원 발생에 따라 크게 증가했다. 서울대 정시모집 인원은 당초 20.9%에서 26.1%로 증가했고, 연세대(28.0%→36.2%), 고려대(15.0%→19.6%), 성균관대(20.2%→25.4%), 서강대(24.3%→29.9%), 한양대(30.3%→31.4%), 중앙대(31.2%→33.3%), 경희대(27.2%→28.9%), 이화여대(26.1%→29.1%), 한국외대(35.9%→37.4%) 등 실제 정시모집 인원은 당초 25.5%에서 29.3%로 증가했다. 특히 서울대 지리교육과(72.2%)와 지구과학교육과(61.9%), 연세대 독어독문학과(63.3%)·경제학부(55.4%)·경영학과(51.6%)·수학과(55.3%) 등 일부 학과의 경우 정시모집 비율이 수시모집 비율을 앞질렀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주요대학 정시 선발비율이 늘었고, 학생부 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위권 학생들이 내신 불이익을 극복하는 논술전형이 축소돼 이들의 수능 중요도가 현재보다 높아졌다"며 "특히 주요 10개 대학의 수시모집 이월인원이 3.7%~8.2%p까지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면 정시 최초 선발이 30% 초반대 대학들의 경우 최종 정시모집 선발비율이 40%까지 높아질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