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중소·중견기업 66.5% "중·장년 채용, 경영성과에 도움"

중소·중견기업 66.5% "중·장년 채용, 경영성과에 도움"

기업 64.2%, 올해 중·장년 채용할 것

중소·중견기업 10곳 중 6곳 "중·장년 채용, 경영성과에 도움돼" /잡서치



중소·중견기업 인사담당자 10명 중 6명은 중장년 직원 채용이 경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중장년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알바천국이 운영하는 채용정보 검색사이트 잡서치는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와 공동으로 지난 3월27일~4월9일까지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288곳을 대상으로 '2018년 중소·중견기업의 채용계획 및 중·장년 채용인식 실태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설문 결과 최근 3년 사이 중·장년 채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중소·중견기업은 조사대상 기업의 76.7%인 221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66.5%는 채용한 중·장년이 경영 성과에 '매우 도움이 됐다'(33.9%)거나 '약간 도움이 됐다'(32.6%)는 등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별로 도움이 안됐다'(4.5%)거나 '전혀 도움이 안됐다'(0.9%)는 부정적 답변은 소수였다.

구체적으로 도움을 받은 분야로는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전수로 직원들의 업무 역량 제고'(32.5%), '업무 충성심, 성실성으로 일하는 분위기 쇄신'(28.7%), '업무 효율성 제고와 조직문화 개선'(16.1%), '매출증가,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14%),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조직융화'(8.7%) 등 조직 문화 개선에 기여했다는 의견이 눈에 띄었다.

중·장년의 평균 근속 연수는 6개월 이하(7.2%), 1년 이하 (19.5%), 3년 이하(46.6%)로, 재취업 3년 내 퇴사 비율은 73.3%로 집계됐고, 5년이하 19.9%, 5년초과 6.8%였다.

한편 중소·중견기업의 64.2%는 올해 중·장년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직종별 '단순 노무직'(26.8%)이 가장 많았고, '연구·기술'(20.0%), '생산·품질관리'(19.3%), '영업·마케팅'(17.7%), '사무관리'(16.2%) 순으로 많았다. 인사담당자들은 중·장년 채용시 우려 고려사항으로 '직원과 소통할 수 있는 조직융화력'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성과 창출을 위한 직무역량, 외국어 등 전문지식', '높은 업무 강도에 적응할 수 있는 건강', '학력, 자격증 보유', '나이' 순이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