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상위 30대 기업 직원 수가 2016년 감소했다가 지난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
지난해 시가총액 30대 대기업 직원 수가 전년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1년 만에 직원이 6584명 증가해 직원 수 1위를 차지했다.
잡코리아가 시가총액 상위 30대 대기업 중 최근 3년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28개사 직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직원 수는 총 47만7898명으로 집계돼 전년(46만4790명)보다 2.8%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이들 대기업의 직원 수는 지난 2015년 46만9960명에서 2016년 1.1% 감소했다가 2017년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직원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직원 수 9만9784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현대자동차(6만8590명), LG전자(3만7653명), 기아자동차(3만4720명), LG디스플레이(3만3335명), SK하이닉스(2만3412명) 순으로 직원이 많았다.
지난해 직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 역시 삼성전자로 직원 6584명이 늘었다. 이어 LG화학(1865명 증가), LG디스플레이(1217명), SK하이닉스(1158명), 현대자동차(1073명)도 직원이 1천명이상 증가했다. 반면 직원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우리은행으로 전체 직원 중 1076명이 줄었다.
대기업 직원 수는 증가했지만, 성별 분포는 여전히 남성(78.5%)이 10명 중 8명 가까이 차지했다. 전년 남성 직원 비율은 78.7%였다.
여성 직원 비율이 높은 기업으로는 아모레퍼시픽이 꼽힌다. 이 회사 여직원 비율은 67.9%로 과반수를 훌쩍 넘겼고, 이외에도 LG생활건강(55.3%), 기업은행(54.4%), 우리은행(53.9%)이 남직원보다 여직원이 더 많았다. 이밖에 삼성생명(44.9%), 삼성화재(43.4%) , 셀트리온(42.3%) , 카카오(41.9%) , SK하이닉스(39.9%) , 네이버(35.9%) 의 여직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남직원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기아자동차로 전체 직원 중 남직원 비율이 97.1%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현대자동차(95.0%) 포스코(94.7%), S-OIL(92.6%)도 남직원 비율이 크게 높았다. 이외에 남직원 비율이 높은 기업은, 현대모비스(89.0%), KT&G(88.5%), LG화학(87.2%), 롯데케미칼(87.1%), 삼성SDI(86.0%), SK텔레콤(85.7%)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