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만간 '핫라인(직통전화)'을 통해 전화통화를 할 전망이다.
북미정상회담이 오는 6월12일 싱가포르로 결정됐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20일 서울 청와대와 평양 국무위원회를 연결하는 핫라인(사진)을 개통한 바 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당초 지난달 27일 열린 남북정상회담 전에 첫 통화를 할 것으로 관측됐지만 남북간 실무진만 시험 통화를 한 뒤 두 정상간 통화는 없었다. 핫라인 개통 일주일 후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었고, 정상회담 이후에도 특별한 요인이 없어 정상간 통화가 미뤄졌던 것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정해졌는데, 핫라인 통화는 언제 하느냐'는 물음에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다.
북미회담 개최가 기정사실화되면서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간 가교 역할을 문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나서게 되는 셈이다.
이 관계자는 '정확히 언제 이뤄지느냐'는 질문에는 "오늘이 금요일 아닌가"라고 반문하면서도 "언제일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그동안 청와대는 "핫라인 통화는 북미회담 일정 발표 후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과 얘기할 소재가 생기는 셈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북미회담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된다는 사실을 한국 정부가 언제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저는 어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를 보고서 알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북미회담 다음 날 6·13 지방선거가 열리는 것과 관련해서는 "날짜와 장소를 정하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한 일이다. 지방선거와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 정부는 판문점을 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아쉽지 않나'라는 물음에는 "분단의 상징으로 판문점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하고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판문점이 더 낫지 않을까 싶었던 것"이라면서도 "북한과 미국이 입장을 정한 것이니 존중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할 때에도 싱가포르가 유력하게 거론됐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2~3곳이 거론된다고 청와대에서 설명한 바 있는데, 한 곳은 의미가 없는 장소이고, 나머지 2곳이 싱가포르와 판문점이었다"며 싱가포르가 애초부터 유력하게 논의가 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최근 평양이 유력한 후보지로 떠올랐다는 보도도 있었다'라는 물음에는 "(평양 개최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았던 것 같다"며 "계속 상황이 변하다가 애초 유력했던 싱가포르로 최종적으로 결정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