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월별 평균 누적수익률* 가입월별 평균 누적수익률 : 가입일 이후 2018년 3월30일까지 누적수익률을 가입월별로 평균계산자료=KEB하나은행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익숙한 30~50대가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미만의 소액 손님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17일 KEB하나은행이 발간한 '2018 대한민국 로보어드바이저 보고서(2018 Korean Robo-Advisor Report)'에 따르면 이 은행의 '하이 로보(HAI Robo)에 가입한 손님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익숙한 30대~50대가 약 70% 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로 온라인(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 고령 손님도 약 8% 넘게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하이로보가 하이브리드 모델로 사람(PB)이 개입된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수용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이로보 가입 연령대별 비중자료=KEB하나은행
KEB하나은행 하이로보(HAI Robo)는 딥러닝 기술이 적용된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의 알고리즘이 추천한 포트폴리오에 대해 PB가 손님의 니즈(Needs)를 반영해 최종 포트폴리오를 선택할 수 있어 하이브리드 로보어드바이저로 분류된다. 2018년 3월말 기준 약 9개월만에 가입손님 약 4만명, 가입금액 5000억을 돌파했다. 동기간 동안, 하이로보를 체험한 손님수는 약 14만명, 가입한 펀드 계좌수는 15만개를 넘어섰다.
하이로보에 가입한 금액대별로는 100만원 미만이 60.5%를 차지하고 있으며, 1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이 18.8%, 1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17.6%를 차지하고 있다. 가입금액 1백만원 미만인 손님수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수익률도 코스피를 웃돌았다.
출시 이후 2018년 3월말까지 추천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코스피와 단순 비교 때 '자산배분 알파', '다이렉트 알파'의 모든 위험성향별 추천포트폴리오 수익률이 코스피 수익률을 상회했다. 특히, 공격투자형 추천포트폴리오 수익률은 코스피 대비 8.91 ~ 11.84% 초과수익을 시현했다. 가입유형별 비교시 '자산배분 알파'가 '다이렉트 알파' 수익률을 소폭 웃돌았다.
'자산배분 알파' 알고리즘의 공격투자형 추천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가입시기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리밸런싱이 실행된 2017년에 가입한 손님의 수익률은 가입월별로 평균 11.05% ~20.85%였다.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은 -3.50% ~ 3.11%였다. 또한 3개월 단위로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하는 경우 수익률은 더 높았다.
위험성향별 추천포트폴리오 누적수익률 * 누적수익률 : 하이로보 출시일) 이후 2018년 3월 30일까지 누적수익률자료=KEB하나은행
손님들은 포트폴리오 점검을 위해 로보어드바이저를 이용했다.
하이로보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부자들은 '이용 편의성'(42.2%)을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지속적인 포트폴리오 관리'(24.1%),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성'(20.5%), '정확한 투자성향 분석'(12.0%) 측면에서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다만, 하이로보의 높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보완되어야 할 부분에 '자문의 안정성/신뢰성'이 높게 나온 것은 아직 AI 기반에 대한 의문을 다소 갖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KEB하나은행은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이 2018년 현재 1조원 시장에서 2025년 3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KEB하나은행 개인영업그룹 장경훈 부행장은 "로보어드바이저는 사람과 인공지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태로 계속 진화하여 디지털 자산관리의 대중화를 이끌 것이다"며 "보고서를 매년 정기적으로 발간해 부유층 시장 지표의 바이블로 여겨지는 글로벌 컨설팅업체 캡제미니(Capgemini)의 '세계 부자 보고서(World Wealth Report)', KEB하나은행의 '한국 부자 보고서(Korean Wealth Report)'와 같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서 비즈니스의 현상과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례 보고서로 자리매김 하도록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