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원표 삼성SDS 대표이사 사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구서윤 기자
삼성SDS가 클라우드서비스의 대외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삼성SDS는 17일 상암 데이터센터에서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인 '삼성 SDS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를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삼성SDS 홍원표 대표이사는 "1분기 클라우드 실적이 작년 동기 대비해 130% 성장했다"며 "수년간 쌓아온 클라우드 분야의 경험과 글로벌 업체들과 제휴를 통해 융합돼있는 기술력을 가지고 삼성관계사뿐만 아니라 대외 클라우드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삼성SDS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는 삼성 관계사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운영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글로벌 선도기업과 제휴를 통해 확보된 신기술이 결합된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은 최적의 클라우드 선정, 업무별 클라우드 전환 계획 수립, 다른 기종 클라우드간 전환, 멀티 클라우드 운영관리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삼성SDS 상암데이터센터의 서버룸. /삼성SDS
삼성SDS는 이 같은 고민을 가진 고객에게 그간 삼성 관계사를 대상으로 축적해온 업무별 클라우드 전환 방법론을 적용해 컨설팅부터 전환, 운영에 이르는 멀티 클라우드 토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업무 특성에 따라 프라이빗과 퍼블릭 클라우드를 동시에 활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보안, 안정성 및 성능이 핵심이고, 퍼블릭 클라우드는 신속한 개발과 비용 최적화가 중요하다.
삼성SDS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시스템 다운 시간을 연간 총 5분 이내로 보장하는 세계 최고 수준 가용성(99.999%)을 갖춰 ERP(전사적 자원관리)·MES(제조실행)·SCM(공급망 관리) 등 기업 핵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에 강점이 있다.
또한 삼성SDS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화시켜 개발한 클라우드 플랫폼 PaaS(서비스형 플랫폼)를 통해 기업고객은 개발환경 구축을 15분 만에 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신속한 개발과 배포가 가능하다.
삼성SDS의 고객 맞춤형 퍼블릭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CMS)는 ▲최적의 클라우드 선정 ▲안정적인 클라우드 전환 ▲비용 효율 극대화 ▲GOV(Global One View)를 통한 이기종 클라우드의 통합관리를 제공한다.
또한 삼성SDS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 고성능 연산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슈퍼 컴퓨팅 클라우드를 올해 하반기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