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사 LG유플러스가 글로벌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인 넷플릭스와 함께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하자 방송협회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통해 통신기반의 유료콘텐츠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 했으나 '뜻밖의 암초'를 만나 대처 방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17일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의 이익단체인 한국방송협회는 공식 성명을 내고 "최근 LG유플러스가 불합리한 조건으로 넷플릭스와 제휴하면서 지금까지의 미디어산업 생태계 보호를 위한 노력들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해졌다"고 비판했다.
전 세계 가입자 1억2500만명을 보유한 넷플릭스는 지난해 '옥자'를 개봉한 데 이어 올해에는 예능과 드라마까지 국내 시장을 공략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내놓으며 국내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지난 2016년 1월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국내 유료 가입자 수는 20만~30만명 수준이다. 케이블TV 업체인 딜라이브와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넷플릭스에 손을 뻗은 이동통신 사업자는 LG유플러스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자사 데이터 요금제에 새로 가입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넷플릭스 3개월 이용권을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열었다. 이번 프로모션을 통해 LG유플러스는 자사 요금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넷플릭스 콘텐츠를 활용해 가입자 유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LG유플러스와 넷플릭스의 제휴가 일시적인 프로모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TV(IPTV) 등의 제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통신 시장 3위 사업자인 LG유플러스 입장에서는 자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IPTV 사업에서 넷플릭스와 적극적 제휴를 통해 반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내 사업자에 불리한 협상 조건과 국내 콘텐츠 생태계의 잠식 우려다. 넷플릭스의 경우 글로벌 정책으로 '9대 1'의 수익배분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조건을 받아들일 경우 지나치게 불리한 협상이어서 '기울어진 시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타 이동통신사들도 난색을 표했지만, LG유플러스가 이 조건을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유플러스가 넷플릭스 콘텐츠를 제공할 경우 SK텔레콤과 KT 등도 제휴에 시동을 걸 가능성이 크다.
방송협회는 "그동안 애써 구축한 고도화된 국내 통신 인프라를 헐값에 내줘 국내 콘텐츠 유통질서를 교란하고 미디어산업의 생태계를 피폐하게 만들 것이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LG유플러스 측은 "지적한 내용에 대해 잘 살펴보고 다방면으로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지만, 논란은 당분간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망 사용료도 문제다. 업계에서는 망 사용료와 관련해 '제2의 페북' 사태가 일어나지 않겠냐는 우려도 있다. 페이스북은 앞서 SK브로드밴드 등 국내 특정 통신사업자의 접속경로를 임의로 변경해 페이스북 접속을 의도적으로 차단했다는 논란이 이어져왔다. 이 논란은 국내 통신사업자의 데이터센터(IDC)에 페이스북의 캐시서버 구축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비용 부담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불거졌다. 넷플릭스도 페이스북과 같은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망 사용료를 제대로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콘텐츠 시장도 넷플릭스의 시장 잠식 우려에 숨죽이고 있다. 방송협회는 정부에 "미디어산업 붕괴로 이어질지 모를 LG유플러스와 넷플릭스의 부당한 제휴에 대해 적극 대응·조치할 것"을 촉구하며 "순식간에 사라질 달콤한 향기에 취해 독배를 마시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한다"고 강조했다.
넷플릭스는 글로벌 '콘텐츠 공룡'이라고 불릴 정도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높은 잠식률을 보이고 있다. 막대한 제작비를 기반으로 콘텐츠 경쟁력을 갖춰 미국 내 '코드커팅'을 이끌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넷플릭스와 아마존 진출 후 6년 만에 글로벌 사업자가 주문형비디오(VOD) 시장의 90%를 장악한 바 있다. 넷플릭스는 올해도 드라마와 영화에 80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막대한 제작비 기반의 콘텐츠 경쟁력으로 미국 뿐 아니라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이다. 실제 올해 1·4분기 넷플릭스는 신규 가입자(740만명)의 절반 이상인 550만명을 해외에서 끌어냈다.
노창희 미디어미래연구소 박사는 "넷플릭스가 국내 시장에서 좋은 품질을 갖춘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하면 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전체적인 콘텐츠 품질이 높아질 수는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외국산 자본이 들어간 콘텐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한류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콘텐츠 제작 단가가 높아지면 콘텐츠 산업의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