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6일 만나 '6.12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져야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 지난 4월27일 첫 만남에서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따라 오는 6월1일 남북 고위급 회담을 열기로 했다.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군사당국자 회담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회담도 잇따라 갖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27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면서 "우리 두 정상은 6·12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져야하며,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위한 여정은 결코 중단될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긴밀히 상호협력키로 했다"면서 "또 우리는 4.27 판문점 선언의 조속한 이행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전날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두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가졌다. 이날 두 정상의 만남은 극비리에 진행됐으며 언론에게는 같은 날 밤 7시50분께 소식을 전해졌다.
이날 긴급 회담은 김 위원장이 먼저 손을 내밀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이 요청을 해 왔고, 남북의 실무진이 통화를 통해 협의를 하는 것보다 직접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해 전격적으로 회담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북미정상회담의 핵심 주제인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판문점 선언에 이어 다시 한 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했다"면서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을 통해 전쟁과 대립의 역사를 청산하고 평화와 번영을 위해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에게 불문명한 것은 비핵화 의지가 아니라 자신들이 비핵화를 할 경우 미국에서 적대 관계를 종식하고 체제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것에 대해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것에 대한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최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를 할 경우 적대관계를 확실히 종식화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번영까지 도울 뜻이 있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비핵화에 대해서 뜻이 같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어떻게 실현해 갈 것이라는 로드맵은 양국간에 협의가 필요하고 그런 과정이 어려울 수 있다"며 "그러나 그 로드맵은 북미 간에 협의할 문제여서 제가 앞질러 생각을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전날 양 정상의 파격적인 판문점 만남에 대해서도 상당한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저는 남북의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상 간의 정례적 만남과 직접 소통을 강조해왔고, 그 뜻은 4.27 판문점 선언에 고스란히 담겨있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4월의 역사적인 판문점 회담 못지않게 친구간의 평범한 일상처럼 이뤄진 이번 회담에 매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