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예정된 김정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북한과 미국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북한과 미국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두 차례 회동으로 '평화의 상징'이 된 판문점에서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실무회담에 들어갔다.
이와 동시에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역사적 만남이 이뤄질 싱가포르 현지에서도 양측이 경호, 의전 등을 놓고 협의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미국 팀이 김정은과 나의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해 북한에 도착했다"며 북측 지역에서의 실무회담 개최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은 언젠가는 경제적으로 위대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미국 국무부의 헤더 나워트 대변인도 이날 설명에서 "우리는 (도널드 트럼프)대통령과 북한 지도자 김정은(국무위원장)간 회담을 준비하는 일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고 말하면서 판문점에서의 회담 진행 사실을 확인했다.
판문점에서 열린 북미실무회담에는 미국 측의 경우 주한 미국대사와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지낸 한국계 성김 필리핀 주재 미국대사,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 그 외 미 국방부 관계자 등이 참석했으며 북측에서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최강일 외무성 북아메리카국 부국장 등이 각각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국의 김 대사와 북한의 최선희 부상은 서로 상대를 가장 잘 하는 인물로 꼽히고 있다.
김 대사는 주한 미국대사와 북핵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를 지낸 미국 내 최고의 북핵·북한 전문가다. 최 부상은 뛰어난 영어실력을 바탕으로 북한 내 '대미통'으로서 최전선에서 대미 외교를 이끌어온 주인공이다.
게다가 이번 실무회담을 위해 미국이 북한 측의 판문점 통일각으로 넘어가는 등 파격도 연출되고 있다.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면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놓고 단계적 타결과 일괄적 타결을 각각 주장하고 있는 북한과 미국이 어떤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양측은 당일 정상회담을 위한 준비에도 착수했다.
싱가포르에선 조 헤이긴 부비서실장이 이끄는 미국팀과 '김정은 일가의 집사'로 불리는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이끄는 북한팀이 의전·경호·보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6월12일에 한다고 보면 2주 정도 남았다. 실질적 문제에 대해 깊게 다뤄나갈 것"이라며 "대통령이 움직이게 되면 경호와 의전에도 주의가 필요한 만큼 굉장히 바쁘게 접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