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선 공식 선거운동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우위 속에 시작됐다.
출사표를 던진 각 후보들은 31일부터 오는 6월 12일까지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 17명과 교육감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의원 2927명, 교육의원(제주) 5명 등 모두 4016명의 지역 일꾼이 선출된다.
국회의원 재보선도 '미니 총선' 수준으로 전국 12곳에서 열린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처음 진행되는 전국 단위 선거다. 문재인 정부의 지난 1년 국정운영 성과를 국민에게 평가받는 첫 심판대인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여당인 민주당의 우위가 점쳐진다. 현재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의 지지율은 각각 70%대와 50%대를 유지하고 있다.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시작된 한반도 평화 무드가 지방선거를 비롯해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고 있다. 선거 전날인 6월 12일에는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도 있다.
민주당은 중앙정부의 개혁과제 실현을 위한 지방권력 교체 필요성을 강조하고, '평화 대 반(反)평화 세력' 구도를 부각해 중앙정치의 여소야대 한계를 극복한다는 각오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경제 실정론, 견제와 균형론 등을 앞세우고 있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정의당 등은 양당 독점 폐해를 강조하며 활로를 찾고 있다.
이번 선거의 희비는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 승부에서 엇갈릴 전망이다.
핵심 승부처인 서울시장·경기지사·인천시장 선거의 판세는 민주당의 우위로 시작됐다.
서울시장 3선을 노리는 민주당 박원순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50% 안팎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박 후보의 아성을 깨려는 한국당 김문수 후보와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가 추격전을 펴고 있다.
두 후보가 극적인 단일화를 성사할 경우, 막판 뒤집기 동력을 확보해 서울시장 선거판을 뒤흔들 가능성도 있다.
경기도지사와 인천시장 선거 역시 출발은 민주당이 순조롭다. 경기지사 선거의 경우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0% 안팎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현역인 한국당 남경필 후보가 이 후보의 '욕설파일'을 들고 나오며 파상공세를 펴고 있다.
제물포고 동문의 맞대결인 인천시장 선거 역시 민주당 박남춘 후보가 우세를 보인다. 그는 여론조사에서 배가 넘는 지지율 격차로 1년 선배인 한국당 유정복 후보에 앞서 있다.
선거 결과를 좌우할 격전지로 부산·경남(PK)도 꼽힌다. 민주당은 17곳 광역단체장 기준으로 '9+알파(α)'를 대외적인 목표로 삼았다. 한국당은 '6+알파(α)'를 노리고 있어, 양측 모두 PK에서 승기를 잡아야 한다.
안희정 전 도지사가 '#미투(Me too·나도 당했다)'로 사직한 충남과 대전·충북에서도 막판 표심 쟁탈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국회의원 재보선은 '미니총선'으로 불리는만큼, 결과에 따라 여야 지도부 교체와 정계 개편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