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주의보로 서울시의 호흡기 건강에 적신호가 울리고 있다. 이에 시민들은 6·13지방선거 서울시장 선거전에 나선 후보들의 '미세먼지 저감 공약'에 시선을 모으고 있다. 또 지난 30일 열린 첫 공개 토론장에서 김문수·박원순·안철수 후보는 미세먼지 대책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박원순 후보가 주력하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은 주로 차량 배기가스 감축을 통한 대기질 개선이다. 박 후보는 이번 선거 공약에서 미세먼지를 3대 공약에 직접 언급하지 않고 주로 전기차 보급·충전소 인프라 확충을 통한 에너지 공약을 내세웠다.
공약 세부내용을 보면 ▲배달용 오토바이, 택배용 차량의 전기차 전환 추진 ▲서울형 자동차 환경등급제 시행과 녹색교통진흥지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생태도시숲·생활권 공원 조성 확대 ▲물순환 빗물마을 확대·물순환 그린인프라 확충 ▲태양광발전소 1백만 가구 설치 ▲미니발전소 90만 가구 보급 ▲나눔발전소·커뮤니티발전소를 구축하겠다고 공약했다.
31일 박 후보 측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해까지 2만377가구에 태양광미니발전소를 설치했고, 에너지자립마을 80개소 조성, 천개의 숲 천개의 정원을 만들기 위한 1245만 그루 나무심기, 서울형 비상저감조치 등을 시행했다. 원전하나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366만TOE 절감, 온실가스 819만톤CO2 감축했다.
자유한국당의 김문수 후보는 서울의 미세먼지를 30% 저감시키겠다며 시민들의 마세먼지 마스크를 벗기겠다고 공약했다. 이를 위해 김 후보는 4년 동안 환경 예산을 2배로 책정해 매년 5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공약의 이행 방안으로는 ▲미세먼지 집진탑(자치구별 4대) 100대 설치 ▲어린이집·유치원·학교·경로당에 공기 청정기 설치 지원 ▲지하철·지하상가에 공기 청정기 설치 및 스마트 공기질 관리 시스템 도입 ▲전기차·수소차 등 미세먼지 저감용 친환경 차량 보급 확대 ▲노후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 적극 추진 ▲도로 비산먼지 저감용 도로 청소차 1000대 확보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 교체 비용 지원·설치 의무화 추진 ▲그린 빌딩, 그린 월 등 도시 집진 녹화사업 실시 코높이 미세먼지 측정소 설치 및 5배 확대 ▲중국발 미세먼지 저감 외교 협력 강화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환경협의체 구성 등을 내세웠다.
김 후보가 서울시의 미세먼지가 서울시 본연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경기도나 인천과의 환경협의체를 구성한다는 공약은 다른 두 후보와 차별점을 갖는다.
바른미래당의 안철수 후보는 미세먼지 없는 안전한 스마트도시 구축을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실내외 미세먼지의 맞춤형 해결을 통한 '청정안심(淸淨安心)' 공기 회복,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기반의 도로·교통·쓰레기·전력·물 관리체계 구축으로 서울을 미세먼지 없는 안전한 스마트도시로 구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행 방법으로는 ▲어린이집·학교 등 공공시설에 공기정화기·미세먼지 마스크 비치 ▲지하철역사와 버스 정거장 등 다중이용시설에 실내외 공기정화기 설치 ▲수소버스 등 수소전기차,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 보급 가속화 등이 있다.
특히 초음파·플라즈마 등 국내 우수기술을 이용한 대형 실외 공기정화기 한국형 '스모그 프라타워' 시범설치 뒤 주요거점지 10곳에서 상용화를 한다고 선언했다.
한편, 지난 30일 6·13 지방선거에 나선 서울시장의 세 후보는 첫 공개 토론장에서 미세먼지 대책을 두고 열띤 공방을 벌였다.
김 후보는 "박원순 시장님 미세먼지가 취임 이후에 점점 나빠지는 거 알고 계시죠? 점점 마스크를 많이 쓰고 계신 것도 다 알고 계시죠?"라며 박 후보를 공격했다.
안 후보도 "(박 시장이 대중교통 무료화 대책을 지적하며) 150억원을 먼지처럼 날려버린 것에 대한 비난이 있다"고 가세했다.
이에 박 후보는 사실과 다르다며 "대중교통 무료화는 처음부터 종국적 정책이 아니고 마중물 사업이다"라며 "독일의 경우에는 평소에도 대중교통 무료화를 하고 서울시만 하는 게 아니다"며 맞불을 놓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