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美금리 인상땐 레버리지(차입투자) 리스크↑...자금조달 비상

기업 '부채절벽' 우려

주요크레딧 발행 및 만기자료=하나금융투자



"2013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 당시 미 통화정책 기조 변화 신호가 신흥국가에서의 급격한 자본유출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했다. 앞으로 선진국들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와같은 급격한 자본이동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은 언제든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지난 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의 개회사)

100%다.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6월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을 보여주는 수치다. 각종 성장 지표들이 내리막 길을 걷는 한국경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기업들 사이에서는 빚을 내고 싶어도 더이상 늘리기 어려운 '부채 절벽'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경기 회복세는 더디고, 기업 구조조정 등 악재가 쌓여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금융권 심사가 더 깐깐해질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역시 7월 이후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국내 자금 조달 비용은 오를 전망이다. 해외 차입도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미국이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면서 발행금리 상승은 불가피해졌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금융협회(IIF) 등이 신흥국의 '레버리지(차입투자)'를 경고한 터라 수요는 더 위축될 전망이다.

기업들은 세계적인 경기위축 상황에서 자금사정까지 나빠지면 '신용 강등'까지 걱정해야 한다. 회사채 등 자금조달 시장에서 '신뢰는 곧 돈'이다. 아무리 장사를 잘해도 오너나 외부 변수가 터질 경우 기업의 존립 기반이 흔들릴 수 있어서다.

◆ 美 6월 금리인상 확실…기업, 자금 조달 어려워지나

7일 투자금융(IB) 업계에 따르면 2018년 하반기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는 총 21조3081억원이다. 하지만 제때 자금을 조달하거나 빚을 갚을 지는 의문이다.

한은은 지난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 후 의결문에서 향후 고려 요인으로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를 1순위로 끌어올렸다. 이 총재도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6월 미 금리 결정이 신흥국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는 등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

기업들도 걱정이 앞선다. 회사채 투자심리가 얼어 붙는다면 회사채 가산금리(국고채와 회사채의 금리 차)가 오르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웃돈을 주고 돈을 빌리기 쉽지 않은 처지에 놓일 수 있다.

이미 상당수 국내 기업들이 미국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실제 지난 5개월간 회사채 발행은 눈에 띄게 많았다. 이 기간 회사채 발행액(공·사모 총액)은 약 31조3000억원이다. 이는 2017년 한 해 발행액 48조6000억원의 64.4%에 해당한다. 전년 동기(24조6000억원 ) 대비로는 약 127.2%에 달한다.

신한금융투자 김상훈 연구원은 "2018년 들어 4개월간 운영목적 발행 비율(36.8%)이 빠르게 줄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운영 목적 발행 비중이 약 60%였던 점과 비교된다. 선 발행이 시작되기 전이라 할 수 있는 2013년보다 낮은 수준이다"면서 "최근 2년간 시설 투자 목적 발행비중이 소폭 증가(12.9%)하고 있으나 차환 목적 발행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50.3%). 이는 발행사들이 금리 상승에 대비한 선 발행을 마무리하고, 만기에만 대응하고 있다는 방증이다"며 하반기 회사채 발행 축소를 전망했다.

중견·중소기업은 더 걱정이다. 금리가 오르면 손 벌릴 곳이 없어서다.

한 중견 기업 재무담당 임원 A씨는 "하반기 만기가 돌아오는 저축은행 대출금을 어떻게 갚아야 할 지 걱정이다"면서 "회사채 시장에서도 부정적 관찰대상(watch list)으로 낙인 찍힌 터라 투자계획은 고사하고, 당장 공장 돌릴 돈이 궁한 형편"이라고 하소연했다.

적잖은 중견·종소기업들은 은행 대출이 막혀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10으로 1분기(-3)보다 확대됐다.

◆ 일본과 다른 韓 레버리지(차입투자)

치솟는 금리는 기업들을 '재무리스크'의 트랩(함정)에 빠뜨린다.

전문가들은 '금융권 상환 압박과 신용등급 하락→자금 조달 위축→투자 축소→실적 악화'라는 악순환 고리가 경제성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면서 "국내 기업은 위험에 따른 파급 효과를 고려해 외화부채를 줄이고 환위험 관리를 통해 유동성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한다.

그동안 시장에서는 기업들의 레버리지(차입투자)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적잖았다.

IMF는 지난해 '한국이 직면한 도전-일본의 경험으로부터 교훈'이라는 조사보고서에서 한국과 일본은 모두 기업부채 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양국이 직면한 문제의 양상은 상당히 다르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기업부채는 1990년대 국내총생산(GDP)의 140%까지 상승했지만 2000년대 들어 디레버리징과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2015년 현재 GDP 대비 100%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의 기업부채는 GDP의 100%선이지만 조선이나 해운, 화학 등 특정 산업은 구조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험에서 부실채권에 대한 신속한 인식과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15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 부채와 한계기업으로 대표되는 기업부채 건전성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한국도 미국 금리 인상발 위기에서 예외가 아닌 셈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