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보의 무선연결사업단 총괄사업단장 케이스 링크스(Cees Links)가 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코보
혁신적인 RF(무선주파수) 솔루션 선도기업인 코보(Qorvo)가 국내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코보의 무선연결사업단 총괄사업단장 케이스 링크스(Cees Links)는 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IoT(사물인터넷), 스마트 홈, 와이파이(Wi-Fi) 인프라를 위한 코보의 솔루션을 공개했다.
링크스 단장은 와이파이 기술인 무선 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와이파이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앞으로 전화, 노트북, 자동차 등 모든 인프라에 코보의 칩을 사용해 많은 연결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는 대표적인 글로벌 가전 제조업체가 많이 있어 우리에게 중요한 시장이고 우리는 한국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한국 소비자들의 더 나은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솔루션을 제안할 것"이라며 코보의 한국시장 진출을 밝혔다.
링크스 단장은 802.11ax 와이파이 표준을 이용한 가정용 분산형 와이파이 인프라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미래형 라이프스타일의 혁신을 예고했다.
가정 내 인프라는 스마트 홈을 현실화하는 핵심기술로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공개된 분산형 와이파이 네트워크 기술은 와이파이 메쉬로도 알려져 있으며 방마다 설치된 포드(Pod)를 통해 가정의 거실, 욕실, 주방 등 집안 곳곳에 와이파이 신호를 전파한다.
뿐만 아니라 이 포드들은 블루투스, 지그비 같은 IoT 통신 표준을 탑재해 단일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으며, 802.11ax 와이파이 표준을 이용한 이 솔루션은 크기와 비용은 줄이고 속도와 용량을 향상시켜준다.
코보의 와이파이 솔루션은 와이파이 신호의 출력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전력 소비를 절감시켜주며 와이파이 프론트 엔드 모듈(FEMs), BAW 필터 및 전력 증폭기를 내장하고 있다.
링크스 단장은 "802.11ax 기술로 진화한 가정 내의 분산형 와이파이 인프라가 스마트 홈의 미래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코보의 센서는 사람을 모니터링 할 때 카메라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설치가 쉽고 사용자가 감시받는 느낌을 받지 않도록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시스템이 자동으로 사용자의 특성을 학습해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앞으로 코보는 ▲더 많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기술 제공 ▲고도로 통합된 형태의 부품 제공을 통해 제조사가 좀 더 작은 크기의 제품을 만들도록 지원 ▲다양한 전파가 공존하도록 하는 필터링 제공 ▲에너지 효율 향상에 주력할 계획이다.
코보는 세계적으로 80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작년 30억달러(약 3조2055억원)가 넘는 수익을 올렸으며 첨단 무선 장치,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군사용 레이더 및 통신 등 다양한 고성장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