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전화번호로 관리되고 있는 계정 A,B,C의 활동 비교. /네이버
네이버가 이달 말부터 뉴스 기사에 똑같은 댓글을 '복사-붙이기'하는 행위를 제한한다.
기사 내용과 상관없는 동일 댓글이 반복적으로 게재되어 이용자들이 겪는 불편함을 없애겠다는 취지다.
네이버는 11일 저녁 자사의 블로그를 통해 "기대와 설렘으로 쉼 없이 달려온 6·13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내일 모레면 모두 종료됨에 따라 향후 진행될 네이버 뉴스 댓글 게시판 서비스의 개선 방향성에 대해 안내드리고자 한다"며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동일한 전화번호로 3개의 계정을 만들어 악용하는 행위도 막는다. 이에 따라 현재 3개의 계정으로 하루에 최대 60개의 댓글 작성과, 최대 150개의 공감클릭이 각각 20개와 50개로 변경된다.
선거 특집 페이지와 정치 섹션 기사 본문 하단에 적용했던 댓글 게시판 비노출과 최신순 댓글 정렬의 기본 설정 제공은 당분간 유지된다.
네이버는 "뉴스 댓글 게시판을 두고 불거졌던 논란들이 여전히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지금의 댓글 게시판 모습을 유지한 채 '댓글정책이용자패널'과 함께 다양한 실험과 논의를 통해 보다 적절한 댓글 게시판 프로토타입을 마련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보고 싶지 않은 댓글을 접어주는 '접기요청' 기능은 '신고' 방식으로 돌아간다.
신고가 제출된 댓글은 신고한 이용자에게 비노출 상태로 전환되고, 추후 신고 사유 해당 여부에 따라 다른 이용자들에게도 노출되지 않거나 다른 이용자들에게만 노출되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댓글 허용 여부나 댓글 정렬 방식을 해당 언론사가 결정하도록 하는 구조로 바꾸는 작업은 3분기 중 시행이 목표다.
네이버는 "앞으로도 다각적인 보완을 통해 뉴스 댓글 게시판이 기사에 대한 건전한 토론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