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북한/한반도

[북미정상회담]북미가 안한 종전선언, 남북미가 하나?

트럼프 대통령 "조만간 실제로 종전선언이 있을 것" 밝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 회담 장소인 카펠라 호텔을 산책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12일 얼굴을 맞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종전선언'은 형식상 없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순차적으로 비핵화 절차를 밟고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등 국제사회가 그에 상응하는 도움을 주는 것과 함께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종전선언은 이후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이 함께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카펠라 호텔에서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한 뒤 별도로 가진 기자회견에서 종전선언과 관련해 "조만간 실제로 종전선언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종전선언은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됐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한국전쟁 종전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 등이 이런 관측을 가능하게 했다.

이 같은 이유로 문재인 대통령도 '싱가포르행 티켓'을 기다렸었다. 북미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리고, 그곳에서 남한까지 참여한 3국의 종전선언은 당초 우리 정부가 내심 구상했던 그림이었다. 분단을 상징하는 역사적인 장소에서 남북미 정상이 전쟁을 끝내고 평화협정을 맺는 것이 국제 사회에 전하는 '평화 메시지'로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미정상이 싱가포르에서 만나기로 최종 결정했고, 판문점이 아닌 싱가포르에서라도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남한 정상까지 합세해 종전선언을 함께 하는 것도 차선책으로 나쁘지 않았다.

앞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판문점 선언'을 통해 정전협정을 체결한 지 65년째가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또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기 위해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회담을 개최하자고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선언이 추진됐으면 좋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북미회담 전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간 전화통화에서도 종전선언 문제가 언급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오후 4시30분부터 5시10분까지 싱가포르에 있는 트럼프 대통령과 약 40분간 전화통화를 하며 이튿날 있을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서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게 된 것은 전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용단과 강력한 지도력 덕분"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에서 기적과 같은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한국 국민은 마음을 다해 기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미정상회담이 성공하면 전 세계인에게 큰 선물이 될 뿐 아니라, 6월14일 트럼프 대통령의 생신에도 좋은 선물이 될 것"이라고도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두 정상이 종전에 관한 대화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종전선언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었나'라는 질문에 "나왔다"고 답했다. 다만 이와 관련한 구체적 내용에 대해선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이날 통화에서 북미 정상이 싱가포르 현지에서 종전선언을 하는 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적당한 시점에 판문점 선언에 담겨있는대로 남북미 등이 함께 종전선언을 하는 것에 대한 교감을 나눈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북미 정상이 이날 회담에서 형식상으로도 '종전선언'을 하지 않고 넘어가게 됨에 따라 정전협정일인 오는 7월27일이나 또는 9월 중하순에 예정된 제73차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을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13일 우리나라에 온다. 문 대통령은 14일 예방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