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는 금리에 시중은행의 주름살도 늘고 있다. 중소기업 대출이 늘면서 부실이 커질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번 돈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것도 부담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업은 차입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이자보상배율이 9에서 7.9로 하락하는데, 예년(2012∼2016년 평균 4.8)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이다.
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리 1%포인트 인상 시 이자보상배율 1 미만으로 하락하는 기업 비중은 2017년 상반기 기준 33%에서 34.1%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중소기업 연간 이자부담액 증가율(17.7%)이 대기업(14%)보다 더 크다.
지난해 말 한은은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헤 "전체 가계 및 기업 모두 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부담 증가 정도는 소득, 금융자산, 영업이익 규모 등을 감안할 때 대체로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며 "향후 경기회복에 따라 가계소득과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경우 금리상승에 따른 부담 증가는 어느 정도 상쇄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이 잇따라 금리를 올리면서 상황이 어려워졌다. 특히 부실기업이 그렇다.
국내 기업 10곳 중 1곳은 영업 활동에서 벌어들인 이익으로 부채 원리금을 상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의 '한국 기업 부채상환능력 문제없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 중 부채상환능력이 취약한 기업의 비중(기업 수 기준)은 11.8%로 전년(8.9%)보다 3%포인트 가까이 늘어났다.
기업신용평가회사인 NICE평가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자보상배율(이자비용 대비 영업이익)이 1 이하면서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현금(EBITDA) 대비 차입금 배율이 5 이상일 때를 취약기업으로 분류한 결과다. 전자는 기업의 이자 상환 능력, 후자는 원금 상환 능력을 각각 뜻한다. 취약기업 비중은 2012년 14.2%에서 2016년 8.9%로 하락세를 이어오다가 지난해 급등했다.
부채상환능력 취약기업의 비중 자료=LG경제연구원
상장기업으로 한정했을 때도 비율은 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유가증권 상장사는 37개사로 6개월 전(25개사)보다 48% 증가했다.
당장은 문제될 게 없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하지만 금리가 오른다면 사정은 달라진다.
회사채 우량등급(AA-)과 비우량등급(BBB-)의 금리차는 2016년 6.04%포인트에서 지난해 6.23%포인트로 확대됐다.
LG경제연구원 이한득 연구위원은 "취약기업은 특히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이자비용 증가와 단기 집중된 원금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고, 이는 금융시장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KB증권 전혜현 연구원은 "정부의 가계대출 여신관리 강화 정책이 마련됨에 따라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우량 중소기업이 한정되어 있고, 금리인상에 따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진 만큼 은행 자금수요가 큰 중소기업 대출성장이 더욱 가팔라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향후 중소기업 대출성장 속도가 가팔라질 경우 부실채권 증가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여 건전성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