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제고 방안에 대한 국민참여 정책숙려제 1차 합숙 숙의에서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시민정책참여단에게 환영사를 하고 있다. /교육부
교육부는 23일~24일까지 경기도 근교에서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제고 방안에 대한 국민참여정책숙려제 1차 숙의'를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교육부는 앞서 지난 4월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생부 기재항목을 현행 10개에서 7개로 줄이고, 초등학교의 경우도 8개에서 5개로 간소화하는 시안을 발표했다. 인적사항에서 부모정보를 없애고 학적사항과 통합하고 수상경력과 진로희망사항은 삭제, 교과학습발달상황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기재하던 방과후학교 활동 미기재 등의 내용이다. 이 가운데 수상경력, 봉사활동,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등의 기재 여부가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100여명의 시민정책참여단은 1박2일 동안 함께하면서 학생부 현황에 대해 학습하고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한다. 시민정책참여단에는 중3과 고2까지 학생 20명과 초·중·고 학부모 20명, 초·중등 교원 20명, 대학 관계자 20명, 일반 시민 20명을 무작위 추출법을 통해 선정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이들은 10개 분임으로 나눠 학습, 분임 토의, 결과 공유를 반복하며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논의의 다양성을 위해 각 분임은 분야별 2명씩 총 10명으로 구성했고, 분임별로 1명의 퍼실리테이터를 배정해 토론을 촉진했다.
이번 숙의에서는 학생부 신뢰도 제고 방안에 대한 대안을 논의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초점을 뒀고, 일반 국민이 전반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권고안을 도출을 핵심 목표로 삼았다. 아울러 학생부 기재항목별 주요 쟁점과 핵심 이슈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특히 학생부 각 기재항목의 쟁점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사례와 달리 찬반으로 명확히 정리되지 않는 만큼, 항목 삭제나 일부 보완, 일부 강화 등 다양한 의견이 개진될 수 있도록 했다.
시민정책참여단은 오는 7월 7일~8일까지 진행되는 2차 숙의에서 적합한 개선 방안을 논의해 교육부에 권고안 형태로 제출할 예정이다. 아울러 학생부종합전형 등에 대한 내용도 정리해 교육부에 의견으로 제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2차 숙의에 앞서 오는 29일 서울교대 종합문화관에서 2차 열린토론회를 열어 시민정책참여단의 2차 숙의 전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