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은행 문턱 높아졌나? 中企, 제2금융 대출 1년새 38% 급증

"사장님, 저희 은행에서 더이상 빌려줄 여유는 없습니다. 기존 부채를 털던지 신용도를 올리지 않는면 다른 은행에 가도 마찬가지 일 겁니다." 추가 대출을 받기 위해 시중은행을 찾은 중소기업 A대표는 면박을 당했다. 5~6년 째 자동차 부품업체를 운영해 온 그는 이 은행만 줄곧 이용해 온 이른바 충성 고객이었다.

은행에서 내몰린 중소기업들이 금리 부담이 큰 제2금융권(비은행권)으로 내몰리고 있다. 최근 1년 새 38% 가까이 늘어난 대출이 125조원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은행권 대출은 7% 늘어나는데 그쳐 중소기업 대출에서도 '풍선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이 여신심사를 깐깐하게 하면서 신용이나 담보 능력이 떨어진 기업들은 은행의 문턱이 여전히 높다는 얘기다.

◆ 은행 문턱 높은 중소기업

2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통계를 보면, 지난 4월 국내 중소기업의 비은행예금취급기관(제2금융권) 대출 잔액은 125조 54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4월 90조7001억원보다 약 37.88%나 급증한 것이다.

반면 은행권에선 중기 대출 잔액이 전년 동기 대비 6.83% 늘어난 668조8060억원이었다.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는 2.35%에 그친다.

중소기업들이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고 제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릴 경우 금리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4월 말 기준 신협·농협 등 상호금융권의 신규 신용 대출 평균 금리는 연 4.94%로, 시중은행 금리보다 0.45%포인트 높다. 제2금융권의 중기 대출 잔액은 상호금융 57조9914억원, 상호저축은행 30조7644억원, 신용협동조합 18조6473억원, 새마을금고 11조6250억원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수 년째 지속해 온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대출 진입장벽을 높이다 보니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들이 은행권 대출을 받기 힘들어지면서 제2금융권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또한 제2금융권 중소기업 대출에는 중소기업 법인 이외에 자영업자로 볼 수 있는 개인사업자도 상당수 포함돼 있는데 상호금융이나 저축은행 등이 이들을 상대로 공격적으로 영업하면서 대출을 늘린 것도 중기 대출 증가의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중소기업 대출 이자 부담은 앞으로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2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4였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금리나 만기 연장 조건 등 대출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금융기관이 많다는 뜻이다.

특히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는 전 분기 23에서 43으로 급등하며 2009년 1분기(47) 이후 최고였다. 대기업은 10에서 17로 상승했다.

◆ 돈 있어도 투자 안 해

투자는 꿈도 못 꾸고 있다. 한국은행의 '2018년 1분기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늘어났다.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중소기업 매출액은 제조업(-1.7%)과 비제조업(-0.5%) 모두 매출이 줄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중소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업종의 부진으로 제조업 부문의 매출액이 줄었고, 비제조업이 경우 약화되는 건설 경기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대기업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늘었다.

현금이 없는 것도 아니다. 김학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지난 4월 30일 재정포럼 최근호에 게재한 '기업의 사내유보, 현금성 자산 그리고 투자행태 추이와 시사점'에 따르면 2000년 113조원 규모였던 대기업 보유 현금성 자산은 연평균 9.2%씩 증가해 2016년 463조원이 됐다. 4.1배로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2000년 14조원 규모였다가 2016년 112조원으로 연평균 13.7% 늘며 7.8배가 됐다.

중소기업 곳간에 현금이 쌓여있지만 투자는 오히려 뒷걸음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2005∼2010년 설비투자 증가율은 9.9% 수준이었다가 2010년 이후 -0.4%로 10.3%포인트나 떨어졌다. 대기업도 7%포인트 떨어졌지만 감소 폭은 중소기업이 더 컸다.

보고서는 "중소기업도 일정수준 투자 여력이 있으며 경제 활성화와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며 "투자·상생협력촉진세제 대상에 중소기업도 포함해 기업 규모에 따른 차등과세 정도를 완화하는 등 투자 확대 유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