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기업 4곳 중 1곳 "채용 취소 또는 연기했다"
제조업 부진, 새 노동정책 탓 분석 제기
기업 4곳 중 1곳, 상반기 채용 취소 /사람인
올해 상반기 기업 4곳 중 1곳이 당초 계획한 채용을 취소하거나 연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 부진과 함께 근로시간 단축 등 새로운 노동정책이 실현되면서 고용시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사람인이 기업 47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 4곳 중 1곳에 해당하는 26.8%가 '채용을 취소하거나 연기했다'고 답했다.
채용계획 변경 이유(복수응답)로는 '회사 상황이 좋지 않아서'(42.2%)가 1위로 꼽혔고, '업황이 불안정해서'(30.3%),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서'(23.9%), '근로정책변화 등 사회적 이슈에 보수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10.1%), '대부분 채용을 줄이는 분위기여서'(2.8%) 등으로 나타났다.
채용계획이 변경된 부문(복수응답)은 신입(79.8%)이 경력(77.1%)보다 다소 많았다.
채용계획 변동으로 인한 인력부족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복수응답)으로는 '기존 인력의 업무 분담'(65.1%)이 가장 많았고, '내부 직무순환으로 인력 충원'(27.5%), '해당 사업 축소'(12.8%), '비정규직 인력으로 대체'(12.8%)가 있었다.
최저임금인상과 주 52시간근무제 도입 등 최근의 노동정책의 변화가 채용계획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기업의 63.9%가 '큰 영향 없었다'고 했다. '채용을 줄였다'는 기업은 30.5%, 오히려 채용을 늘렸다는 기업은 5.7%였다. 특히 응답기업 중 10.8%는 '향후 구조조정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고, 축소 예상 인원은 전체 인원의 평균 17.3%로 나타났다.
한편, 하반기 이후 채용계획에 대해 응답기업의 65.4%가 '진행한다'고 답했고, 채용규모는 '예년과 비슷하게 유지 할 예정'(62.2%)이 가장 많았다. '더 늘릴 예정이다'(23.1%), '점차 줄일 예정이다'(14.7%) 등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