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기업 10곳 중 1곳, 불필요한 스펙 갖춘 구직자에 감점·불이익

기업 10곳 중 1곳, 불필요한 스펙 갖춘 구직자에 감점·불이익

직무 관련 전공 등 기본기가 중요

기업들이 꼽은 구직자들의 불필요한 스펙 /사람인



기업 10곳 중 1곳은 직무와 관련없는 불필요한 스펙을 갖춘 구직자에게 감점이나 불이익을 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사람인이 기업 343개사를 대상으로 '불필요한 스펙과 필요한 스펙(복수응답)'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가장 불필요한 스펙에는 '극기·이색경험'이, 가장 필요한 스펙에는 '전공'이 각각 1위로 꼽혔다.

설문 결과, '극기·이색경험'(51.4%), '한자, 한국사 자격증'(45.9%), '석·박사 학위'(28.6%), '봉사활동 경험'(28.2%), '동아리활동 경험'(26.3%), '학벌'(23.9%), '회계사 등 고급자격증'(22%) 등은 기업에서는 불필요하다고 여기는 스펙으로 꼽혔다.

이러한 스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기준(복수응답)으로는 '직무와의 연관성 부족'(73.3%)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은 '변별력 없는 스펙'(36.1%), '자격조건을 과하게 초월한 스펙'(16.9%) 등의 순으로 답했다.

특히 기업의 12.2%는 이렇게 불필요한 스펙을 갖춘 지원자에게 감점 등 불이익을 준 경험이 있었다. 이들 중 90.3%는 탈락까지 감행했다.

불이익을 준 이유(복수응답)로는 '지원 직무와의 연관성이 부족해서'(67.7%), '목표가 불명확한 것 같아서'(32.3%), '기존에 채용한 결과 만족도가 낮아서'(29%), '깊이 있는 지식을 못 갖춘 것 같아서'(19.4%), '높은 연봉 조건을 요구할 것 같아서'(12.9%) 등을 들었다.

그렇다면 기업에서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스펙(복수응답)은 무엇일까?

'전공'(45.5%)을 첫 번째로 꼽았고, 다음으로는 '인턴 경험'(38.5%), '아르바이트 경험'(27.7%), 'OA자격증'(19.5%), '학점'(18.4%), '공인영어성적'(13.7%), '봉사활동 경험'(13.1%), '동아리활동 경험'(12.2%), '제2외국어 능력'(10.5%), '학벌'(9%) 등의 순이었다.

특히 '전공'은 채용 당락에 평균 54.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턴 경험'은 평균 49.4%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