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60% "채용 공정성 신뢰 못 해"… 블라인드 채용 확대해야
구직자 60%, 채용 공정성 신뢰 못 해 /사람인
기업들의 채용 비리가 터져나오면서, 구직자 5명 중 3명은 기업의 채용 공정성을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자들은 채용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블라인드 채용 도입을 가장 많이 꼽았다.
12일 사람인이 구직자 477명을 대상으로 '기업의 채용 공정성 신뢰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9.5%가 '기업의 채용 공정성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공정성을 신뢰하지 못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명확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지 않아서'(54.6%)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일부 기준만으로 필터링 하는 것 같아서'(51.8%), '채용 청탁 비리가 팽배해서'(45.8%), '합격자 발표를 비공개로 진행해서'(30.3%), '부모 이력 등 불필요한 정보를 요구해서'(22.2%), '성별 등 바꾸기 어려운 요소로 차별해서'(18.7%)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실제로 채용 시 불공정하다는 느낌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구직자는 절반이 넘는 52.8%였다. 불공정함을 느낀 전형(복수응답)은 '면접전형'(59.5%), '서류전형'(56%), '연봉협상'(14.3%), '인적성 및 필기전형'(9.9%) 순으로 나타났다.
구직자들이 채용이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상황(복수응답)으로는 '내정자가 있는 듯한 채용 진행'(5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 몰림'(36.1%), '근무조건 기재가 불분명함'(31.3%), '나보다 스펙이 낮은 사람이 합격함'(21.8%), '채용공고가 게재 도중에 바뀜'(18.3%) 등이 있었다. 또 이들 중 74.2%가 불공정한 채용 행태로 인해 자신이 탈락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93.7%가 이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한편, 구직자들은 공정한 채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블라인드 채용 도입'(30.2%)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채용 심사기준 공개'(19.7%), '직무내용을 상세히 공고에 기재'(15.5%), '청탁에 대한 규제 강화'(9.6%), '서류 기재항목 간소화'(8.8%), '필기 등 객관적 전형 실시'(7.3%) 등의 의견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