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대목' 옛말, 소기업·소상공인 71.7% "올 여름 체감경기는 한파"
벼룩시장구인구직 설문조사, 10명 중 7명 "올 여름휴가 못간다"
여름휴가 시즌, 소상공인 체감경기는 '꽁꽁' /벼룩시장구인구직
내수 경기 활성화에 영향이 큰 여름휴가 시즌이 다가왔지만, 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체감경기는 '한파'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미디어윌이 운영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이 자사 소기업·소상공인 기업회원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1.7%가 '올해 여름 휴가철 체감 경기가 어렵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29%는 '매우 어렵다'고 했다. 이어 20.3%가 '보통이다'고 답했고, 체감경기가 '매우좋다'(2.7%), '좋다'(5.3%)고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10%가 채 되지 않았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84.6%), '일반서비스업'(77%). '건설업'(72.7%), '제조업'(62.2%), '숙박음식업'(50%)의 순으로 체감경기 악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 생활과 밀접해 있는 도소매업, 일반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체감경기가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올해 여름 휴가철 매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과반수를 훌쩍 넘는 63.7%가 '예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이 예상한 평균 매출 감소폭은 25.6%로 적지 않았다. 반면 휴가철 매출이 '예년에 비해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이들은 6%에 불과했다.
지난 러시아 월드컵 특수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월드컵 특수 체감 정도를 묻자 '월드컵에 대한 전체적인 관심도가 낮아 월드컵 특수를 보기 힘들다'(67%)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예전만 못하지만 어느정도 특수를 누렸다'(27.3%), '월드컵 덕분에 매출이 상승해 월드컵 특수를 누렸다'(5.7%)는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여름휴가 시즌 경영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 회복 둔화로 인한 전반적인 소비지출 감소'(37.7%)가 1위로 나타났고, 이어 '전반적인 물가 상승'(28.3%), '인건비 상승'(13.7%), '과열된 동종업계 시장'(13.3%), '대형 기업들의 동종업계 진출 및 저가마케팅'(7%)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영상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정책으로는 '사업활성화를 위한 자금 지원'(41.7%)이 가장 많았고, 이어 '다양한 홍보, 마케팅 지원'(21%), '대형 기업으로부터의 사업영역 보호'(18.3%), '온·오프라인 카드 수수료 인하'(12%), '폐업 시 재출발 지원'(7%)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름휴가 시즌의 불황은 추후 인력고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신규 인력 추가 계획을 묻자 66.7%가 '신규 인력을 추가할 계획이 없다'고 했고, 22%는 '기존 인력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다. '신규 인력을 추가할 계획이 있다'는 소상공인은 11.3%에 그쳤다.
올해 여름휴가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49%가 '휴가를 떠나지 않고 집에서 휴식을 취할 예정이다'고 답했고, 30.3%는 '하루라도 일을 쉬면 타격이 크기 때문에 여름휴가는 떠나지 않을 계획이다'고 하는 등 소상공인 10명 중 7명은 올해 여름휴가를 떠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계형 자영업이 특히 많은 우리나라 소상공인의 특성상 대부분 여름휴가를 떠나지 않고 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