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윤수 회장 "남북 교육교류 복원할 것"… 통일부 승인 나면 10월 '전국교육자료전'에 북한 교직동 위원장 등 초청
하윤수 한국교총 회장(앉은 사람)이 25일 오전 북한 조선교육문화일꾼직업동맹에 남북교육자 대표회의 제안을 위한 북한주민접촉계획서를 인터넷을 통해 통일부에 접수하고 있다. /교총
최근 남북 교육자 교류를 정부에 제안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하윤수 회장이 25일 통일부에 북한주민접촉계획서(접촉 계획서)를 접수했다.
하 회장은 앞서 지난 17일 기자간담회에서 오는 10월 21일 한국교원대에서 개최되는 제49회 전국교육자료전에 북한 교직동 위원장을 포함한 교육대표자를 초청하고, 한국교총 또는 제3의 장소에서 교총 회장과 북한 교직동 위원장을 포함한 남북 교원 각 10여명으로 남북교육자 대표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안했었다.
교총이 통일부에 접촉 계획서를 전달하는 것은 이 같은 북한 인사 초청 내용을 담은 서신을 북한 교직동 위원장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전에 통일부에 승인을 받는 절차다.
교총은 통일부 승인이 나면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를 통해 북한 교직동에 서신을 전달할 계획이다. 교총은 "서신 전달 시기는 통일부 승인 여부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지만 대략 8월중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교총은 교육자료전에 북한 교직동의 참석이 이뤄질 경우 ▲남북 교육자료의 비교 ▲남북 공통 교육자료 개발 등 교수-학습과 교육활동에 대해 논의하고, 별도 남북교육자 대표회의에서는 ▲남북교육 교류와 교육협력 활동 활성화 방안 ▲북한 학생 지원 사업 ▲남북 문화·역사·언어 등에 대한 공동학술대회 개최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하 회장은 "이번 남북 교육자간 만남 추진은 지난 4월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조성된 남북 화해와 평화 분위기를 교육으로 확산하고, 남북 교육자간 공감과 소통을 통해 10여년간 중단됐던 남북 교육 교류를 실질적으로 복원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교총은 지난 1991년 '남북교원교류를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한 것을 시작으로 1992년 일본교직원노동조합이 개최한 '아태지역 교육포럼'에서 남순희 당시 북한 교직동 위원장 등을 만난 것을 시작으로 2004년 금강산에서 열린 6·15 민족대축전행사 등에서 남북 교육자 교류를 해왔다. 이후 지난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이후 교류가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