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인, 통계청 '2017 일·가정 양립 지표' 분석 결과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 속 육아휴직자 수는 늘었지만, 기업 규모별 격차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사람인이 통계청의 '2017 일·가정 양립 지표'를 분석한 결과 육아휴직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2013년(6만9616명) 대비 2017년(9만123명) 29.5% 증가했다.
육아휴직자 수는 증가했지만, 기업 규모별 격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의 '기업의 일·가정 양립제도 도입률 실태조사'에 따르면 300인 이상의 기업에서는 출산휴가제와 배우자 출산휴가제, 육아휴직제 모두 90% 이상 도입하고 있었지만, 100인이하 규모의 기업으로 갈수록 그 비율은 줄었다. 육아휴직제의 경우 2017년 조사 기준 '300인 이상 기업'은 93.1%가 도입했으나, '100~299인 기업'(86.7%), '30~99인 기업'(76.1%), '10~29인'(46.1%), '5~9인'(33.8%)로 급격하게 낮아졌다.
이런 가운데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2017년 처음으로 1만명을 넘어섰다. 남성 육아휴직자수는 2013년 2293명에서 2017년 1만2043명으로 늘어났으며 5년 동안 전년 대비 40% 이상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전체 육아휴직자 대비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도는 2015년 5.6%에서 2017년 13.4%로 증가했지만, 겨우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제도는 있지만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 사람인이 '300인 미만 규모 기업' 232개사를 대상으로 '육아휴직 부담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여성직원의 비율은 47%로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남성직원이 없다'는 기업이 90.9%로 남성육아휴직은 거의 없는 제도나 마찬가지였다.
영세사업장이 많은 300인 미만의 기업들은 '대체 인력 부족'을 이유로 육아휴직 사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육아휴직, 출산휴가 등 '일·가정 양립 제도'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기업도 47.4% 였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우리나라 기업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육아부담을 줄여야 진정한 일과 가정 양립 사회가 실현될 수 있다"며 "기업의 대체 인력 채용 지원과 세제 혜택 등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