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74%, "역량 좋아도 인재상 부합하지 않으면 탈락"
사람인, 기업 인사담당자 703명 설문조사
인재상 키워드 성실성>책임감>주인의식 순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인재상 키워드 /사람인
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은 직무 역량이나 스펙이 좋아도 기업의 인재상에 부합하지 않은 지원자를 탈락시킨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7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 인재상 부합 여부가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은 평균 54%로 나타났다.
실제로 인사담당자 10명 중 7명(74.3%)은 직무 역량이나 스펙은 좋지만 인재상에 부합하지 않아 지원자를 탈락시킨 경험이 있었다. 반대로 직무역량이나 스펙 등은 부족하지만 인재상에 부합해 합격시킨 지원자가 있다는 응답도 83.6%나 됐다. 평가 지표 등으로 나타나는 스펙 등이 부족해도 해당 기업의 인재상에 부합하면 합격이 가능한 셈이다.
인사담당자들은 인재상 부합 여부를 주로 '면접'(80.5%, 복수응답)을 통해 확인하고 있었고, 이밖에 '자기소개서 내용'(31%), '이력서 항목별 기재 내용'(17.6%), '인적성검사'(10.2%) 등으로 검증하고 있었다.
기업 대다수(10곳 중 9곳)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인재 채용을 위한 방식을 채용에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심층 면접 실시'(62.2%,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필수자격조건을 없애거나 기준 낮춤'(24.3%), '추천, 평판조회 등 검증 프로세스 구축'(11.9%), '인적성검사 도입'(8.6%), '기업 맞춤 질문 자기소개서 항목 추가'(7.2%), '서류 작성항목 축소'(7.2%) 등의 방식을 도입했다.
인사담당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인재상 키워드는 '성실성'(20.5%)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책임감'(16.1%), '주인의식'(13.1%), '열정'(12.8%), '전문성'(8.5%), '소통'(6.5%), '팀워크'(5.7%), '도전정신'(4.8%), '정직'(4%), '고객중심'(2.1%), '창의'(1.8%) 등의 순으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