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공항에서 전용기가 평양으로 향하기 위해 이륙하고 있다./평양사진공동취재단
서해직항로가 남북 간 연결고리의 '핫라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평양에서 열리는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서해직항로를 이용한 것으로 전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오전 8시40분 성남공항을 출발해 오전 10시 평양 순안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서해 직항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1차 정상회담때 이용했던 경로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오전 9시18분 전세기를 타고 서울 성남공항을 출발해 67분 만인 10시 25분 평양 순안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서해직항로는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비행기를 타고 서쪽 공해상으로 빠져 나간 뒤 다시 북상해 평양 서쪽 바다에서 우회전해 진입하는 'ㄷ' 자 모양의 항로다. 북한 최전방 군인들이 남한 쪽에서 오는 비행기에 대해 무의식 중에 공격할 수 있어 군 주둔지를 피하기 위한 우회 항로로 알려져 있다.
서해직항로는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30여차레 이용되며 방북· 방남의 주요 경로가 됐다. 2001년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을 조문하기 위한 북측대표단과 2009년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북측 조문단이 이 항로를 이용했다.
지난 2014년 10월에는 황병서, 최룡해, 김양건 등 북한 고위급 3인방이 전용기를 타고 서해직항로를 통해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에 참석했다. 우리 항공기가 이 항로를 이용해 평양에 간 것은 2015년이 마지막이다. 그해 8월 이희호 여사가 방북했고 10월에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남북 노동자 축구대회 참가를 위해 서해직항로를 이용했다.
이후 막혔던 서해직항로는 올해 2월 북측이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보내면서 3년 4개월만에 다시 열렸다. 지난 5일에는 우리 측 대북특별사절단이 서해직항로를 타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났다. 문 대통령이 평양 정상회담에서 이 항로를 이용하기로 한 것은 북한의 열악한 도로사정도 있지만 특사단 방북을 통해 이미 검증된 경로라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2018 남북정상회담'에는 공식수행원 14명을 비롯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민사회 등 각계각층 인사 52명으로 구성된 특별수행원이 평양으로 떠났다. 두 정상의 이번 회담은 지난 5월26일 2차 회담 이후 4개월여 만이다. 남북 정상회담의 모습은 전 세계에 생중계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