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살(殺)방향은 피해야
잠의 중요성이 신체생리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우리의 영혼이라 불리는 의식의 건강에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우리는 간과한다. 정신과 마음이 편치 못한 사람들은 잠을 잘 자지 못한다. 마음이 교란되면 숙면을 취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근심 걱정이 있을 때도 마찬가지다. 외부의 삿된 기운이든 내면의 근심걱정이든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마음이 쉬지를 못하고 따라서 육체 또한 고스란히 마음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결막염에 걸렸다던가 하여 눈이 충혈 되어 있는 경우 외에 밤잠을 설치거나 좋지 않은 영과 기운의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의 눈은 붉게 충혈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이 이에 대한 또 하나의 방증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사람들은 눈은 마음의 창이라 이르지 않았던가? 잠의 신비는 꿈과의 연계성을 고려해볼 때 더욱 그러하다. 우리가 밤에 잠을 잘 때는 단순히 낮 동안 활동하느라 지친 육체적 휴식만 취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몸과 정신은 별개의 것이 아닌 매우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다. 몸과 마음이 둘이 아니듯 정신적으로도 잠은 휴식과 더불어 낮의 빛 때문에 교감이 충분치 않았던 부분에 대해 일깨워줌과 동시에 영감을 더해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우리가 어떤 문제해결을 위하여 가피를 받기 위해서도 영감과 신탁을 얻으려 할 때도 꿈을 통해 얻는 경우도 많다. 빠른 경우는 깊은 염불 삼매나 선정 삼매에 있을 때도 어떤 계시나 가피를 받기도 하지만 꿈을 통해 미래에 대한 암시나 예시를 받는 것이 보편적으로 많다고 일러진다. 심지어 필자의 아는 종교인 중 한 사람은 어떤 목적 기도를 마친 날엔 반드시 꿈을 통해 의미 있는 상징을 얻곤 한다고 누누이 얘기한다. 필자 역시 비슷한 경험을 많이 하는 터라 공감을 표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하나 역학적으로는 각자의 사주구성에 따라 좋은 방향과 그렇지 않은 방향의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오랜 시간을 한 방향으로 자는 밤잠의 경우에는 자신에게 좋은 기운을 주는 방향으로 머리를 두고 자야 숙면을 취하는데도 바람직하다. 우리 지구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 인간 역시 소우주이다. 우리 선조들은 집을 지을 때 남향집을 우선으로 친다. 왜, 사람 몸이나 일상생활 속에서 가장 좋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잠자리 역시 그러하다. 좋지 않다는 살(殺) 방향은 고집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