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등 각종 'OO페이'의 이용건수와 금액이 지난해보다 2배 가량 늘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중 전자지급 서비스 이용현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하루평균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실적은 362만7000건, 1174억원으로 전분기보다 각각 26.0%, 17.4% 증가했다.
간편결제는 공인인증서, OTP 없이 비밀번호나 지문만 입력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신종 전자지급 서비스다.
간편결제 이용건수는 지난해 2분기 187만2000건보다 2배가량 늘었다. 이용금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 5665억원보다 약 2배 증가했다.
이는 유통·제조회사가 제공하는 오프라인 간편결제를 중심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전체 이용건수 중 유통·제조회사가 제공하는 간편결제 시스템에서 77.8%에 달하는 282만1000건이 결제됐다.
같은 기간 하루평균 간편송금서비스 이용 실적은 132만건, 91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25.5%, 19.0% 증가했다. 간편송금은 모바일 기기에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활용해 송금하는 서비스다.
전자결제 시장은 전반적으로 커졌다.
올해 2분기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 하루평균 이용실적은 803만건, 4001억원으로 전분기보다 각각 7.1%, 1.2% 늘어났다. 온라인쇼핑이 일반화되는 가운데 PG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카드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증가했다.
2분기 결제대금예치서비스 하루평균 이용실적은 45만건, 673억원으로 1분기보다 각각 7.1%, 0.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선불전자지급서비스 이용실적도 1668만건, 1276억을 기록해 전분기 대비 각각 10.0%, 13.8% 증가했다.
전자고지 결제서비스 하루평균 이용금액은 21.2% 감소한 254억원, 이용 건수는 5.7% 줄어든 15만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아파트 관리비 등과 같은 고지서를 이메일 등 전자적 방식으로 발행하고 대금을 직접 수수하여 정산을 대행하는 서비스다.
직불전자지급 서비스 하루평균 이용금액은 468건, 879만원으로 전분기 대비 건수는 16.1% 증가한 반면 금액은 10.0% 감소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폰에서 인증 절차를 거쳐 편의점 등 가맹점에서 이용할 때 이미 등록된 구매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 자금 이체를 중개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