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운명의 날' 신동빈 2심 판결 앞두고 롯데 '노심초사'
롯데그룹이 신동빈 회장의 2심 선고를 앞두고 법원의 판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검찰이 신 회장에 대해 1심 선고형량의 5배에 가까운 구형을 했기 때문이다.
롯데그룹은 8개월째 총수 공백으로 그룹 경영에 빨간불이 켜졌다. 기업 투명화와 한일 롯데 관계의 재정립을 위한 작업들을 답보상태며, 투자와 채용에서도 예년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5일 서울고법 형사8부(부장판사 강승준)는 신동빈 회장과 신격호 명예회장 등 총수일가에 대한 선고 공판을 진행한다.
지난 2월 1심에서 신 회장은 징역 2년 6개월과 추징금 70억원의 실형을 받고 법정구속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면세점 특허권 연장 등 그룹의 현안에 대한 부정한 청탁을 하고, 그 대가로 최순실씨의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의 뇌물을 건넨 혐의다.
구속 수감된 신 회장이 자리를 비우면서 롯데그룹은 경영에 타격을 받고 있다. 투자를 비롯해 채용면에서도 결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롯데 그룹의 올해 상반기 투자액은 약 8800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약 20% 감소했다. 아울러 매년 1만2000명 수준을 유지하던 공채는 올해는 2300명 정도만 뽑아 약 80% 줄었다. 또한 인도네시아, 베트남, 미국 등에서 진행하던 10조원에 달하는 10여건의 투자나 인수합병 작업도 올스톱됐다.
롯데가 중국 선양에 추진 중인 롯데월드 건설공사가 2년째 중단됐다. 지난 2016년 11월 공사를 중단 이후 진척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롯데가 진행 중인 '청두 프로젝트'의 매각설이 나돌고 있다. 이처럼 롯데가 중국에서 침체 상태에 빠진 원인은 중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이지만, 일각에서는 신 회장이 경영 활동이 정상적으로 가능했다면 상황이 달라졌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실제로 신 회장은 지난해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사업을 계속하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동안 신 회장은 다수의 인수·합병(M&A)을 성사시켰다. 롯데그룹으로서는 신 회장의 공백이 아쉬울 수밖에 없다.
또한 신 회장의 공백으로 롯데그룹의 지배구조 개선 문제도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 형제간 경영권 분쟁 당시 노출된 순환·상호출자 지배구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신 회장밖에 없다는 게 그룹 안팎의 시각이다.
신 회장은 롯데그룹의 경영권 분쟁 이후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한·일 롯데의 경영권을 확립했다. 국내에서는 순환출자 해소와 지주회사 전환 등을 통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는 작업을 실시했다. 호텔롯데를 상장해 국내 롯데의 모든 계열사를 지배하는 지주사를 설립하는 것으로 일본 롯데와의 연결고리를 끝으려 했다. 이같은 신 회장의 구상은 신 회장이 구속 되면서 속도를 내지 못했다.
신 회장은 2심 선고를 앞두고 재판부에 "다시 일하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지난달 29일 결심공판에서는 '기업가정신'을 강조하고 이를 실현시키겠다고 약속하며 선처를 부탁했다. 당시 애플 창업자 잡스의 이름도 거론하면서 재판부를 향해 다시 사회로 나가 기업가정신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기회를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법조계에서는 신 회장이 실형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사건 항소심 결과 때문이다. 항소심 재판부는 70억원을 부정 청탁이라고 보고 유죄로 판단했다. 이에 신 회장의 항소심에도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신 회장의 당시 사정 및 상황 등이 재판과정에서 밝혀지면서 실형을 피할 가능성도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5일 신동빈 회장의 2심 판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