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접목한 독자적인 클라우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토이미지
블록체인 기술이 정보보안, 금융기술 분야에서 주목받으면서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이 블록체인을 접목한 독자적인 클라우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IBM은 리눅스 재단과 '하이퍼레저' 블록체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으며 모든 산업영역에서 두루 쓰일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는 게 목표다.
오라클, 아마존, MS와 같은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도 일찍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신규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반의 앱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개발 툴킷을 제공하는 등의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오라클은 최근 '블록체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했다. 고객에게 자신만의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이 기존 사용 중이던 타사의 서비스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 중이더라도 통합 적용해 빠르게 적응 시킬 수 있는 플랫폼 클라우드 서비스(PaaS),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SaaS)를 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은 이더리움 연합(EEA)의 초기 멤버인 컨센시스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칼레이도'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도입해 독자적인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업용 올인원 SaaS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은 전세계적으로 웹기반의 클라우드 고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대형 기업외에도 많은 업체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메이드세이프는 일반 개인 PC의 남는 저장공간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공개해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개념의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선보였다.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PC의 소유자는 보상으로 세이프코인을 받는다. 이와 유사하게 유휴 스토리지를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도 속속 등장했다.
최근 국내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문서의 보관, 저장에 특화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블록체인 디스켓이라는 뜻의 비스켓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돼 생성된 데이터들의 효율적인 보관과 안전한 보존에 이어 경제적인 보관비용을 보장하는 서비스를 구현한다.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기반 응용서비스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중인 기업들에게 제공한다는 목표다.
특히, 비스켓 프로젝트는 다차원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인증 플랫폼인 애스톤 기반의 디앱(DApp)으로 개발이 진행되며, 애스톤 플랫폼 위에서 생성되는 모든 전자문서와 데이터들의 관리를 책임지게 된다.
비스켓 프로젝트 관계자는 "많은 기업과 정부기관이 탈중앙화 기술의 가치를 확인하면서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파일럿에서 상용화 단계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그중 클라우드 분야가 가장 가속화되고 있다"며 "대형 클라우드 기업에서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범용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에서 도입하기 어려운 기술적 장애물을 내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