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기록적인 폭염으로 냉방수요가 급증하자 오는 겨울에도 난방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속되는 전력난에 가스공사측은 가스냉난방시스템 보급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간 수백억의 예산을 가스냉방 사업에 투자했지만 전력대체 효과는 오히려 줄어들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4일 한국가스공사는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도시가스협회와 공동으로 '가스냉방 보급 확대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가스냉방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전력부하 완화와 가스냉방 확대방안 ▲해외 가스냉방 보급사례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가스냉방은 전기를 가스로 대체함으로써 하절기 최대 전력부하를 완화하고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천연가스 판매를 확대하고 동고하저 수요패턴 개선함으로써 저장설비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그간 정부가 수백억 예산을 들여 추진해온 가스냉방 사업 실적은 지지부진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삼화 의원(바른미래당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사업시행 첫 해인 2011년부터 올해 9월까지 가스냉방 설치지원과 설계 장려에 투입된 사업비는 총 657억원이다.
하지만 가스냉방이 분담하는 전력부하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여름철 전력 피크시 가스가 대체하는 전력량은 2012년 1907MW였으나 2017년에는 1761MW로 약 10%에 불과했다.
김삼화 의원은 "정부가 8년 동안 수백억 원의 예산을 써가며 가스냉방을 보급해왔지만 사업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실적이 후퇴하고 있다"며 "정부 당국은 설비 보급에 예산만 쏟을 것이 아니라 왜 소비자들이 가스냉방을 외면하고 있는지 제대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부터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