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그룹의 하도급 갑질과 구조조정 문제가 올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강한구 현대중공업 사장은 이날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해 소속 위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
15일 오후 국회 본관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현대중공업의 하도급 대상 갑질논란과 지배구조 개편 등에 대한 소속 위원들의 질의가 쏟아졌다.
현대중공업은 하도급업체인 삼영기계가 개발한 피스톤에 작업 표준서, 제조 공정도, 작업 표준서 등 핵심 기술 자료를 제공하라는 요구를 하는 등 하도급 업체의 기술을 탈취하고 불공정거래 행위를 일삼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사건과 관련해 경찰은 지난해 현대중공업에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이날 강 사장에게 "조선3사의 원하청간 계약을 살펴봤는데 하청업체가 자신이 지급받는 대금이 어떻게 책정되는 지 알 수 없는 등 '노예계약'과 같았다"고 말했다.
공정위는 지난 1일부터 현대중공업 본사에 조사관을 파견해 직권조사를 실시 중이다.
김상조 공정거래 위원장은 "현대중공업의 하도급 문제에 대해서는 11월 중에 다룰 수 있을 것이고 이후 조선3사의 불공정 거래 직권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질의도 있었다.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을 증인으로 소환해 "현대중공업은 2015년부터 희망퇴직을 단행하고 사업을 분할하는 등 구조개편을 단행했다"며 "이 과정에서 회사의 이익보다는 오너일가의 사적이익에 주력했다"고 주장했다.
제 의원은 현대중공업이 사업분할을 앞둔 2016년 현대오일뱅크의 배당을 실시하지 않고 분할 이후 현대중공업지주에 이익을 넘긴 것과 현대중공업이 소유하고 있던 91.5%의 현대오일뱅크 지분을 현대중공업지주에 전량 배정했다는 것 등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분할 이후 현대글로벌서비스의 영업이익이 성장한 반면 현대중공업의 영업이익이 줄어드는 점을 문제 삼았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해부터 순환출자 해소를 위한 움직임을 가졌다. 구 현대중공업을 인적분할해 현대중공업지주와 현대중공업,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현대건설기계로 분리했으며 AS부품 부문을 떼어내 현대글로벌서비스를 설립했다
이에 강환구 사장은 "사업재편을 실시한 배경은 그동안 겪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취한 것"이라며 "당시 채권단의 요구에 따라 3조5000억원에 대한 자구안을 마련했고 이를 이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강 사장은 이어 "배당과 관련해서는 2016년 11월 이사회를 열고 2017년 3월에 지배구조 개편을 단행했다"며 "배당한다 해도 지주회사로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