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유통·화학 신성장동력 발굴 초점…"국가 경제 이바지"
롯데가 23일 발표한 5년간 50조 투자한다는 계획은 그룹의 양대 축인 유통과 화학 부문을 중심으로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지난 8개월 간 총수 공백으로 멈춰선 롯데가 대규모 투자 계획을 선보이면서 본격적으로 재가동을 알리는 것이라는 평가다. 일각에서는 지난 2016년 경영비리 관련 검찰 수사 이후 내놓은 투자 및 고용 계획과 이번에 선보이는 계획이 비슷해 재탕에 가까운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유통·화학에 투자 집중
롯데는 5년간 50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투자액 가운데 화학·건설이 40%, 유통 및 관광·서비스가 각 25%, 식품이 1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먼저 이커머스(e-commerce)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통해 롯데의 온라인 사업 역량을 업계 1위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Big Data) 활용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물류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복합쇼핑몰 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내기로 했다. 현재 국회에서 복합쇼핑몰 사업과 관련해 규제 법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래성장 가능성이 있는 사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 준것이라는 분석이다.
화학 부문에서는 여수와 울산 등 국내와 인도네시아, 미국 등 해외의 생산거점에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그룹의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화학 부문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미래먹거리를 확보한다는 것이다. 롯데는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대규모 설비 투자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원료 지역을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미 인수한 국내 유화사와 고부가가치 제품 등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식품 부문에서는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외 식품 설비 개선 작업도 병행할 방침이다. 관광 및 서비스 부문에서는 국내외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하는 한편 해외 인수·합병(M&A)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롯데는 5년간 7만명의 고용 계획도 함께 발표했다. 올해 1만2000명, 내년에는 1만3000명 등 채용 규모를 매년 늘려나가 2023년까지 7만명을 채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투자·고용 계획…2016년 재탕?
이번 롯데의 대규모 투자 및 고용 계획은 신동빈 회장의 경영복귀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신 회장은 이달 초 항소심 재판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8개월여의 수감 생활을 마쳤다. 롯데는 지난 2월 신 회장의 법정구속 이후 8개월간 그룹의 투자와 채용이 멈춰섰다.
지난 8일 신 회장은 임원들에게 "어려운 환경일수록 위축되지 말고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국가 경제에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롯데는 지난 2016년 10월 경영비리 관련 검찰수사가 끝난 직후에도 5년간 40조원 투자 및 7만명 고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롯데의 발표는 지난번 계획보다 투자액이 10조원 늘어났지만, 고용 규모가 동일해 '재탕'이라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온다.
이에 롯데 측은 2년 전 경영비리 재판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부지 제공에 따른 여파, 국정농단 관련 재판 등이 이어지면서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