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부평미군기지 캠프마켓 토양 오염 정화를 협의할 민관협의회'에서 김유근 국방부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장(가운데)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며 박수치고 있다.
인천 부평 미군기지 캠프마켓의 정화작업을 투명하게 진행하기 위한 민관협의회가 24일 출범했다.
국방부는 이날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이 '캠프마켓 다이옥신류 등 복합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민관협의회(이하 캠프마켓 민관협의회)' 출범식을 가졌다"면서 "지역주민 대표와 환경전문가를 포함한 10명의 위원을 위촉한다"고 밝혔다.
캠프마켓 민관협의회는 다이옥신류 등 복합오염토 정화가 국내에서 처음 시행되는 것임을 고려해 정화사업을 안전하고 투명하게 진행하고, 정화사업을 추진하는 동안 지역주민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구성됐다.
부평 캠프마켓은 지난해 환경부 조사 결과, 33개 조사지점 중 7개 지점의 토양 시료에서 기준치 이상의 다이옥신류가 검출된바 있어, 기지 반환에 앞서 정화작업이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기지 정화작업의 투명성과 소통을 위해 구성된 캠프마켓 민간협의회는 △국방부와 환경부 각각1명 △인천시와 부평구 각각1명 △지역주민 대표 2명 △시민참여위원회 대표 2명 △환경전문가 5명 등 13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인천시의 시민참여위원회 추천이 지연돼 우선 10명으로 출범하게 됐고, 선정되지 위원은 환경전문가 1명과 시민참여위원회 대표 2명으로 차후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장 주관으로 '위촉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캠프마켓 민관협의회 출범 이전까지 국방부와 환경부,인천시 등은 수차례 주민공청회 및 해외 사례조사 등을 거쳐 정화 기준을 100pg(피코그램· 1조분의 1g) 미만으로 결정했다. 이는 독일 등 유럽에서 유아용 놀이터 흙에 적용하는 기준이다.
캠프마켓 민관협의회는 원활한 사업 시행을 위해 분기 1회 정례 회의와 수시 회의를 통해 정화 설비 설치와 정화 간 모니터링, 결과 검증 등 캠프마켓 정화 과정 전반에 걸쳐 참여할 예정이다.
김유근 사업단장은 "캠프마켓 정화는 부평지역 주민들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라며 "민관협의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지역주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