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네이버, 사상 최대 매출 1조3977억원에도 영업이익은 29%↓

네이버가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하며 아쉬운 3분기 성적표를 받았다. 네이버가 AI(인공지능) 기술 개발과 일본 자회사 라인에 공격적 투자를 한 점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네이버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3977억원, 영업이익 2217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4%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29% 감소했다.

수익성 악화의 주된 이유로는 AI 등 대규모 투자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 꼽힌다. 특히 핀테크 등 해외에서 여러 신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일본 자회사 라인에 들어간 돈이 크게 증가했다.

3분기 라인 및 기타 플랫폼에 5786억원이 들어갔는데, 이는 전년 대비 50.2% 늘어난 금액이다. 라인 및 기타 사업 부문의 영업손실은 546억원에 달했다.

그럼에도 네이버는 라인의 지분 매각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박상진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콘퍼런스콜에서 "라인 및 글로벌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고 여러 협력 관계를 이끌 투자자와 파트너십이 있다면 네이버 보유지분이 낮아지더라도 전략적 투자 유치나 제휴를 할 수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라인에 대한) 지분을 줄이거나 늘릴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사업 부문별 영업수익과 비중은 ▲광고 1361억원(10%) ▲비즈니스플랫폼 6130억원(44%) ▲IT플랫폼 885억원(6%) ▲콘텐츠서비스 361억원(3%) ▲LINE 및 기타플랫폼 5240억원(37%)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바일 첫 화면 개편에 대해선 자신감을 보였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그린닷을 통해 검색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검색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며 "모바일 화면 왼쪽의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웨스트랩은 지역정보, 동영상, 오디오 등 사용자 호용이 높은 주제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메인 개편에 대한 매출 영향도는 기존과 대비해 구조적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최인혁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홈화면 개편 후에도 기존 메인상품은 별다른 변화 없이 판매할 예정"이라며 "홈광고는 베타기간 이후 테스트 위주로 집행해서 부정적 영향 거의 없도록 노력중이고 향후 새로운 메인이 개편될 때 상품성 조율 및 조기시장 안착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네이버의 공격적인 투자는 지속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이날 "4분기도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총 투자는 작년보다 증가할 것"이라며 "라인은 3분기부터 글로벌 핀테크, 클로버 프로젝트에 투자를 시작했으며 4분기에는 동남아 지역에 대한 금융 관련 신규 사업 투자가 예정돼 있어 4분기에도 투자가 많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3977억원, 영업이익 2217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