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등 온라인거래가 물가를 내리는 요인이 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8일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 '일본 온라인거래 현황 및 물가에 대한 영향'에서 "온라인거래 확대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소비자 물가에 대한 하방압력(Amazon effect·아마존 효과)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일본 사례를 들었다. 최근 일본은 인터넷 등 온라인거래망을 이용한 물품구입이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인터넷판매 이용 가구 비중은 2010년 18.0%에서 2018년(1~8월 중) 37.9%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인터넷판매 소비지출액 비중도 1.5%에서 4.2%로 확대됐다.
일본의 온라인거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ICT(정보통신기술) 기술발전과 이를 접목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성장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업과 소비자간(B2C) 전자상거래 규모는 16조5000억엔을 기록한 가운데 전체 물품구매거래 중 전자상거래 비중은 5.8%에 달했다. 2010년 2.8%, 2012년 3.4%, 2014년 4.4%, 2016년 5.4%로 점차 전자상거래 비중이 확대하는 양상이다.
이 같은 온라인거래 확대는 물가를 내리는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일본 가계의 인터넷판매 소비지출액 비중이 상승(0.6%포인트)함에 따라 근원인플레이션율이 0.1∼0.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추정했다. 식료품과 의류 등 인터넷쇼핑몰과의 경쟁도가 높은 제품에 대해서는 0.3%포인트 물가 하락 효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온라인거래의 비중이 늘어나는 '구성비 효과'와 경쟁 관계에 있는 오프라인 거래 가격으로 파급되는 '경쟁 효과' 등이 물가를 내리는 주요 경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