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제약사들의 3·4분기 크게 부진한 실적을 공개했다. 외형은 대체로 성장했지만, 수익성은 전년 대비 크게 하락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 연구개발(R&D) 비용의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미래 가치를 위해 현재 수익성을 희생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국내 상위 제약사들의 3·4분기 수익성은 전년 대비 크게 낮아졌다.
업계 1위인 유한양행은 3·4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전년 동기 거의 반토막이 났다. 유한양행은 지난 7~9월 3756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판매고를 올렸다. 다만, 영업이익이 44억원으로 전년대비 77% 급감했고, 순이익은 38억원에 그치며 1년 만에 75% 줄어들었다. 추석연휴에 따른 영업일수 제한으로 외형성장 부진한데다 연구개발비와 판매관리비용이 증가하며 수익성은 더욱 낮아졌다는 평가다. 지난 3·4분기 유한양행의 R&D 비용은 전년대비 23% 늘어났다.
같은 기간, GC녹십자도 부진했다. GC녹십자는 지난 3·4분기 전년 대비 소폭(1.1%) 감소한 352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280억원)과 순이익(158억원)은 모두 전년 대비 33%, 44% 감소했다. 수익성이 높은 품목인 대상포진 백신 조스타박스의 경쟁 심화와 자궁경부 암 백신 가다실의 공급 지연 영향으로 내수부문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4.7%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R&D비용은 315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가량 늘어나며 수익성을 끌어내렸다.
종근당은 지난 3·4분기 2349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대비 7%의 외형성장을 나타냈다. 반면, 영업이익은 210억원, 당기순이익은 135억원에 그치며 전년 대비 11%, 18% 가량 각각 줄어들었다.
한미약품은 연결회계 기준으로 3·4분기 전년보다 3.4%늘어난 매출액 2353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15억원으로 전년보다 23% 가량 줄었고, 순이익은 94억원으로 59% 감소했다. 회사측은 "지난해 3·4분기 발생한 일회성 수익 요인(임상 진행에 따라 파트너사가 일시적으로 지급한 마일스톤)으로, 이번 분기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전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3·4분기 연구개발(R&D)에는 409억원을 투자했다. 매출액의 17.4%를 차지하는 규모다.
동아에스티(ST) 역시 지난 3·4분기 영업이익이 82억원으로 전년 대비 48% 줄어들었다.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대비 45% 줄어든 61억원으로 부진했다. 같은 기간, 전년 대비 7.1% 늘어난 191억원을 R&D 비용으로 지출하며 수익성이 줄어들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국내 상위 제약사들의 4·4분기 실적 전망도 밝지 않다. 외형 증가가 크지 않은 가운데 R&D와 인건비 등 투자비용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나금융투자 선민정 연구원은 "한미약품, 유한양행,종근당, 녹십자 등 상위사의 경우 4·4분기 실적도 크게 기대할 것이 없다"며 "다만, R&D 비용 증가는 미래 가치에 투자한다는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볼 수 없으며, 단순히 실적보다는 내년부터 나타날 임상결과 발표나 승인 결과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