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7일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오찬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한국은행
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016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원·달러 환율 움직임은 물가를 끌어내렸는데 올해는 그 정도가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임 위원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오찬 간담회에서 "환율은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거시변수 중 하나"라며 이같이 밝혔다.
임 위원은 "원화 가치와 글로벌 경기는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보지만 내외금리 차나 경상수지는 글로벌 경기가 악화하거나 국제금융시장에서 달러 유동성이 긴축으로 전환하는 특정 상황에서 관계를 갖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6년 이후 환율은 완만한 절상 흐름을 보이면서 국내 물가 상승률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원화 가치 상승으로 국내 물가의 오름세를 제한했다는 것이다.
한국경제는 원자재의 70% 이상, 중간재의 20%를 수입하는 소규모 개방경제다. 이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입 가격이 오르며 물가에 상방 압력을 준다.
다만 글로벌 달러 유동성이 급격히 악화한다면 환율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임 위원은 "글로벌 경기 상황이 좋을 경우에는 원화 가치가 상승해 국내물가의 오름세를 제한하는 반면 글로벌 경기가 둔화되는 국면에서는 원화 가치가 하락해 국내물가에 대한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대외건전성이 양호하지 않거나 내외금리 차가 우호적이지 않다면 글로벌 경기 둔화기에 원화 가치 하락은 급속도로 진행될 수 있고 물가에 상방 압력을 가중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경기 환경이 유동적인 상황이기에 향후 원화 가치 변동성이 크게 확대할 수 있다"며 "환율 움직임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저물가 흐름과의 연관성을 더 신중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외금리차와 관련해서는 "국내 거주자의 해외 투자를 향한 관심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며 내외 금리 차가 환율에 주는 영향이 확대하고 있다"며 "5∼10년 뒤에는 내외 금리 차가 환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