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구스틴 카르스텐스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이 20일 오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한국은행
"주요 경제 국가들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구조개혁(Structure reform)이다. 구조개혁을 늦출수록 잠재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아구스틴 카르스텐스(Agusitn Carstens) 국제결제은행(BIS) 사무총장은 20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은행(BOK)-BIS 공동컨퍼런스'에서 가진 언론 공동 인터뷰에서 "구조개혁이란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거나 경쟁을 많이 하도록 환경을 만드는 것, 인프라에 투자하고 노동생산성의 효율이 높아지는 것, 다자간 무역을 진행하는 것 등을 말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내년 세계경제에 대해 국제통화기금(IMF) 전망과 의견을 같이 했다. IMF는 지난 9월 올해 세계경제전망을 기존 3.9%에서 3.7%로 하향한 바 있다. 내년 전망도 3.7%로 낮췄었다.
글로벌 경제에 가장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을 꼽았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무역분쟁은 세계 경제 불확실성 높이고 투자 및 소비 둔화, 가치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며 "무역분쟁은 투자 둔화, 소비 변화로 글로벌 밸류 체인을 변화시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달 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회담에서의 미·중 간 협상을 기대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과거 멕시코와 트럼프 간 협상 전례에서 보듯 미·중도 대화로 해결하길 바란다"면서 "미·중 간 무역분쟁 시 세계경제 불확실성과 성장을 저해하는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분명한 밑그림을 갖고 대화를 나누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준의 금리인상과 관련해서는 "미 금리인상은 피할 수 없는 상황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대체적으로 잘 대응해 왔다"며 "10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으면서 그동안 중앙은행들이 비전통적인 방법을 써왔고 연방준비제도는 이를 되돌리는 시점에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역시 거시경제가 견조하고 인플레를 잘 조절하고 있고 금융시장은 안정돼 있다"며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적절한 통화정책 등으로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카르스텐스 사무총장은 최근 이주열 한은 총재가 BIS 이사회 멤버에 들어온 데 대해 "지금까지 아시아 국가는 중국, 일본, 인도였는데 여기에 한국이 들어오면서 BIS 최고 의사결정 기구에서 아시아의 무게가 높아졌다"며 "한국과 BIS가 오래도록 관계를 이어가 한국이 국제금융시장에서 많은 기여를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BIS 이사회는 신임 이사에 이주열 한은 총재를 선임했다. 한은 총재가 BIS 이사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