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체코가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더욱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또 체코의 원전건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우리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한국과 체코는 1990년 수교 이래 우호 협력 관계를 지속해서 발전시켜왔고 특히 2015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이후 우호 협력 관계가 더욱더 빠르게 발전해왔다"며 "양국 관계는 앞으로 더욱 크게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체코를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프라하 시내 힐튼호텔에서 안드레이 바비시 총리와 회담을 하고 이같이 언급한 뒤 "총리님과 함께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더욱 발전시키고자 하는 희망이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오전에 프라하성을 관람했는데 중세 시대 건축을 그대로 간직한 프라하성과 프라하시 모습이 참으로 아름다웠다"며 "신정부의 성공적인 출범을 축하드리고, 총리님의 지도력 속에서 체코가 더욱 발전·번영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올해 체코 독립 100주년을 축하하며, 또한 올해는 프라하의 봄 50주년 이기도 한데, 자유·민주를 향한 체코 국민의 뜨거운 열망과 불굴의 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줬다"며 "나는 그때 고등학생이었는데 전 세계가 체코 국민을 응원하고 그 좌절에 안타까워했던 기억이 지금도 남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도 여러 차례 시민항쟁을 통해 좌절을 겪어가면서 민주주의를 발전시켰고, 내년이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된다"며 이런 모든 점에서 양국은 참으로 공통점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바비시 총리는 "체코가 건국 100주년을 맞고 있고, 제1공화국 때 선진국 중 하나였지만 이어서 독재 정권하에 있으면서 자유·민주주의를 갈망하면서 벨벳 혁명을 통해 민주화가 됐다"며 "내년이면 벨벳 혁명 30주년"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께서도 인권 변호사로 인권·민주화를 위해서 노력하신 분으로 경력을 높이 평가한다"며 "또 긴장 완화 등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신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체코 정부가 향후 원전건설을 추진하기로 결정하면 우수한 기술력과 운영·관리 경험을 보유한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게 관심을 가져 달라고 바비시 총리에게 당부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현재 24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고 지난 40년간 원전을 운영하면서 단 한 건의 사고도 없었다"며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의 경우도 사막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도 비용추가 없이 공기를 완벽하게 맞췄다"고 말했다.
이에 바비시 총리는 "예정보다 지연되고 있는 다른 나라 원전건설 사례들을 잘 알고 있고, 우리도 준비가 아직 마무리되지 못했다"며 "바라카 원전사업의 성공 사례를 잘 알고 있으며, 한국은 원전 안전성에 관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추후 긴밀히 협의해 나가자고 밝혔다.
이와 관련, 윤 수석은 "바비시 총리는 아직 준비가 안 됐지만 원전 추가 건설 추진 의지를 확실하게 밝혔지만 시기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며 "체코 원전사업에 대한 양 정상 간 상당한 이해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