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김 위원장 좋아하고 바라는 바 이루어주겠다"[/b]
[b]문 대통령, 아르헨→뉴질랜드行 전용기서 밝혀[/b]
[b]文 "김 위원장 연내 답방 가능성 열려있다"[/b]
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뉴질랜드로 향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공군 1호기 기내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 아주 우호적인 생각을 갖고 있고, 김 위원장을 좋아하고, 그런만큼 김 위원장과 함께 남은 (비핵화 등)합의를 마저 이행하기를 바라고 또 김 위원장이 바라는 바를 이루어주겠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 등을 마치고 뉴질랜드로 향하면서 전용기인 공군1호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전해달라고 한 메시지를 언론에 공개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그냥 가능성이 열려있다"며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북미간 비핵화 대화에서도 아주 긍정적인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점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인식을 같이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북미간 2차 정상회담이나 이를 위한 전초적 성격인 고위급회담에 앞서 김 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하는 것에 대한 부담도 이번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말끔히 사라졌다"고 소개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연내 답방할 지는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 있는 문제로 조금 더 지켜보도록 하자"면서 "김 위원장이 연내 답방을 할지 여부는 아직 알수는 없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이 70년 만에 이뤄진 엄청한 역사적 큰 사변이듯 북한 지도자가 (1차 남북정상회담 당시)판문점에서 남쪽으로 넘어온 적은 있지만 서울을 방문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면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이뤄지면 그 자체로서 세계에 보내는 평화 메시지, 비핵화에 대한 의지,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의지 등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현실화될 경우 이를 놓고 보수와 진보가 대립하는 등 국론 분열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일축했다.
문 대통령은 "국론 분열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그것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가 이뤄지고, 남북 간에 평화가 이뤄진다면 그것이야말로 모든 국민이 바라는 바다. 모든 국민들이 쌍수로 환영해 줄 것이라 믿는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시 경호 등을 위해 초래될 불편에 대해선 국민들께 양해도 구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북한에서 가장 신경을 쓸 부분이 경호라든지 안전 문제가 아닐까 한다"면서 "우리가 철저하게 보장해야하고 경호나 안전 보장시 교통 등 국민들이 불편한 부분이 있다면 조금 양해해 주셔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1~2월께로 적시한 2차 북미정상회담이 올해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보다 진일보한 합의를 이끌어내야한다는 것에는 한미 정상이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합의에선 북한 비핵화,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 미국의 북한에 대한 적대관계 청산, 북한 안전 보장 등을 북미가 합의했다"면서 "각각 조치들이 선후적으로 어떻게 배치돼 나갈 것인지 타임테이블은 북미간 대화를 통해 결정돼야하는데 싱가포르회담에서 원칙적 합의만 했기 때문에 2차 북미정상회담에선 조금더 큰 타임테이블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한미간 같은 인식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문 대통령은 기내에서 40분 가량 간담회를 하면서 경제 등 각종 국내 현안에 대해서도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졌지만 답하지 않았다.
모두 발언에서 "국내 문제는 질문받지 않겠다"고 강조한 문 대통령은 한 기자가 "소프트하게 여쭙겠다"며 "정부 3년차에 꼭 성과를 내고 싶은 분야가 무엇인지"를 묻자 "더 말씀 안하셔도 될 것 같다. 외교 문제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겠다"며 답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