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인, 구직자 418명 설문조사
구직자 10명 중 7명 이상은 올해 하반기 구직난을 여느 때보다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사람인이 구직자 418명을 대상으로 '2018 하반기 체감 구직난'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4.4%가 올 하반기에 구직난이 심해진 것으로 느낀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67.6%)보다 약 7% 증가한 수치다.
구직난이 심화됐다고 느낀 이유(복수응답)로는 '경기가 좋지 않은 것 같아서'(52.1%), '지원 경쟁률이 높아져서'(49.2%), '채용을 실시한 기업이 줄어서'(45.7%), '질 낮은 일자리만 많은 것 같아서'(40.5%), '서류 등에서 탈락하는 횟수가 늘어서'(38.9%), '기업별 채용규모가 축소돼서'(36.7%), '채용 절차가 까다로워져서'(20.6%) 등의 순이었다.
구직자 35.2%는 올 하반기에 목표로 한 기업이 채용을 하지 않아 아예 지원을 하지 못한 적도 있다고 답했다. 이런 답변을 한 구직자가 지망하는 기업 형태(복수응답)는 중견기업(46.9%), 중소기업(40.1%), 대기업(30.6%), 공기업 및 공공기관(25.2%), 외국계 기업(10.9%) 등의 순이었다. 대기업과 공기업이 일정규모의 채용을 유지한데 비해, 중소·중견기업이 채용을 줄인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심화된 구직난이 구직자에게 끼친 영향(복수응답)으로는 '입사지원 횟수 증가'(59.5%), '눈높이 낮춰 입사지원'(58.8%)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밖에 '묻지마 지원'(36%), '자격증 등 스펙 향상에 집중'(27%), '공무원으로 진로 변경'(9.3%), '취업 사교육에 투자'(9.3%), '인턴 등 실무 경험 쌓기 매진'(8.7%), '해외 취업에 적극 나섬'(8%), '창업을 준비함'(7.7%) 등이었다.
특히 구직자 대부분(95.5%)이 구직난으로 취업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고 답했고, 구직난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은 '불편을 느끼는 약간 심한 수준'(54.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나 '치료를 요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는 답변도 16.1%에 달했다.
구직난으로 질병을 얻었다는 응답자도 88.4%였고, 질병(복수응답)으로는 '불면증'(46%)이 가장 많았고, 이어 '두통'(42.8%), '만성 피로'(41.8%), '소화불량'(33.4%), '목, 어깨 등 결림'(27.7%), '우울증, 공황장애 등 정신질환'(23.2%) 등이 있었다.
구직자들은 구직난이 완화되기 위해 필요한 것(복수응답)으로 '국내 경기 회복과 경제 성장'(68.4%)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정부의 실효성 있는 일자리 정책'(58.6%), '기업의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58.1%), '구직자의 현실적인 눈높이'(23.4%), '대학 등 교육기관의 취업 맞춤 교육'(14.1%)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