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트라이트 세션 발표를 마친 클로바AI 이상우 연구원이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 내용에 대한 추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는 올해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진행되는 인공지능·딥러닝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콘퍼런스 'NeurIPS 2018(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에서 인공지능(AI)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고 5일 밝혔다.
NeurIPS는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교와 벨 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머신러닝 분야 학회다. 특히 지난 1986년 시작한 이래, 인공 신경망 연구가 확산되며 세계 최대 머신러닝 학회로 그 중요도와 주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NeurIPS에 제출된 논문 중 상위 3%에게 부여되는 '스포트라이트'세션에 채택됐다.
네이버 클로바AI 이상우 연구원이 제출한 목적 지향 대화에 있어 질문자가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고 예측해 효과적으로 질문해 클로바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인 AQM에 대한 논문은 학계의 극찬 속에 스포트라이트 세션에서 높은 주목을 받았다.
또한, NeurIPS 현장에서 진행된 시각언어모델링 워크샵에서는 클로바 AI팀(이상우, 양소희, 유재준, 하정우)의 논문 'Large-Scale Answerer in Questioner's Mind for Visual Dialog Question Generation'이 채택됐다. 해당 논문은 기존 AQM의 적용 범위를 극대화한 AQM+ 기술을 담았다.
한편, 네이버는 라인 및 네이버랩스유럽과 함께,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정규 세션 이전에 엑스포 워크샵을 개최했다. '자비스를 뛰어넘어: 인공지능 비서부터 생활환경지능까지'라는 주제로 진행된 해당 워크샵에서는 전 세계에서 몰려든 AI 기술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문자인식(OCR), 음성인식,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등 네이버와 라인의 AI 플랫폼 클로바와 네이버랩스 유럽의 혁신적인 AI 기술을 공개했다.
네이버 클로바 김성훈 리더는, "그동안의 AI 기술에 대한 꾸준하고 집중적인 연구와 투자가, 현재 글로벌 테크 리딩 기업 중 하나로 네이버가 자리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다"며 "앞으로도 네이버는 미래 실제 생활에 활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와 투자를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플래티넘 스폰서로 NeurlPS에 참여하며 구글, 바이두등 글로벌 테크 리딩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특히 행사 전체 기간에 걸쳐 네이버의 전반적인 인공지능 기술을 소개하는 별도 부스를 마련하고, 해당 부스를 찾는 글로벌 인재들을 대상으로 채용 프로그램 상담도 진행하는 등 국내외 인공지능 분야 인재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