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18년 10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10월 경상수지는 91억9000만달러로, 80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기록했다. /유토이미지
10월 경상수지가 80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수출이 572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영향이다. 여행수지 적자 폭도 23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18년 10월 국제수지(잠정)' 자료에 따르면 10월 경상수지는 91억9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2년 3월 이후 80개월째 흑자 행진으로 사상 최장기간이다.
흑자규모는 전월(108억3000만달러)보다 축소했지만 작년 10월(57억2000만달러)보다는 34억7000만달러 늘었다.
1∼10월 누적 경상수지는 668억7000만달러였다. 이 같은 속도라면 한은이 전망한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 700억달러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이 큰 몫을 했다. 반도체 수출의 호조세가 지속되고 추석 연휴 이후 조업일수가 늘어나면서 상품수지 중 수출이 역대 최대치인 572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8.8% 늘었다.
수입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늘어난 462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영업일 수 확대, 유가 상승에 따른 원유 도입 단가 상승으로 지난 2012년 2월(33.5%) 이후 80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이다.
이에 따라 수출과 수입의 차인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110억달러로 전월(132억4000만달러)보다 다소 축소됐다.
10월 서비스수지 적자는 22억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월(-25억2000만달러) 대비로는 물론 전년 동월(-35억3000만달러)에 비해서도 적자규모가 개선됐다. 그동안 서비스수지 적자 확대의 주범이었던 여행수지가 개선한 영향이 컸다.
여행수지는 9억5000만달러 적자로 지난해 같은 달(-16억7000만달러)보다 축소됐다. 2016년 11월(-7억5000만달러) 이후 1년 11개월 만에 적자 규모가 가장 작았다. 중국인과 일본인 입국자수가 늘어나고 역대 최대 수준을 지속하던 출국자수 증가세가 기저효과로 둔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여행수입(15억4000만달러)은 2016년 5월(17억2000만달러) 이후 가장 컸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이자지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11억7000만달러)보다 축소된 9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전소득 수지는 5억4000만달러 적자였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 자산(자산-부채)은 105억9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 해외투자가 43억2000만달러, 외국인 국내투자가 9억6000만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선 내국인 해외투자가 26억7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들의 국내 증권투자는 40억8000만달러 감소했다.
파생금융상품은 7억7000만달러 증가했다. 외환보유액에서 환율 등 비거래 요인을 제거한 준비자산은 21억6000만달러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