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에 이어 셀트리온이 분식회계 논란에 휘말렸다. 금융감독원이 감리에 착수했고, 셀트리온은 "기업회계기준에 따른 정당한 회계처리였다"며 의혹을 적극 부인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셀트리온의 자회사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회계 기준을 위반한 정확을 포착하고 감리에 들어갔다.
셀트리온 제품 독점 판매권을 가진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올해 2분기 국내 판권을 모회사인 셀트리온으로 넘기면서 218억원을 받은 것이 문제가 됐다. 금감원은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이 때 받은 218억원의 '허위 매출'로 영업이익 적자를 면했다고 판단하고, 고의적인 분식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입장을 밝히고, 해외시장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국내판권을 모회사에 되판 것이라고 해명했다.
회사측은 "국내 거래에 대한 구조를 단순화하고 시장규모가 작은 국내보다 해외시장에 당사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것"이라며 "2017년부터 셀트리온과 해당 내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왔고, 올해 이사회 승인을 통해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218억원의 매출액 역시 영업활동으로 인한 정당한 금액이라고 반박했다.
회사측은 "기업회계기준서상 영업이익(손실)에 계상되는 매출액은 주된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금액을 의미한다"며 "당사는 셀트리온 제품에 대한 전세계 독점판매권을 바탕으로 수익을 창출했고, 이는 정당한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금액"이라고 말했다.
가공(허위) 매출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당사는 최근 5개년 동안 파트너사로부터 회수기관에 맞춰 지속적으로 매출채권을 회수하고 있으며, 연체가 발생하거나 회수하지 못한 채권은 단 한건도 없다"며 "매출채권 회수기간이 증가하더라도 금융부채가 없고, 현금성자산을 약 7000~8000억원 가량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성 측면에서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