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급여력(RBC)비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9월 말 기준 보험회사 RBC비율 현황'에 따르면 3분기 보험사들의 RBC비율은 261.9%로 2분기(253.5%) 대비 8.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264.1%) 이후 4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RBC비율은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RBC비율이 높을수록 재무건전성이 양호하다는 의미다. 보험회사가 예상하지 못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보험계약자에 대한 보험금지급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책임준비금 외에 추가로 순자산을 보유하도록 하기 위해 도입됐다.
생명보험회사의 RBC비율은 272.0%로 전분기 대비 8.7%포인트 올랐고 손해보험회사의 RBC비율은 242.8%로 8.0%포인트 상승했다.
RBC비율이 상승한 것은 보험사들의 가용자본이 요구자본보다 빨리 늘어났기 때문이다.
시장금리 하락 등에 따라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이 2조3000억원 늘었고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이 2조1000억원이 발생해 전체적으로 가용자본이 5조9000억원 늘었다. 반면 운용자산과 보유보험료 증가에 따른 신용 위험액 증가는 4000억원, 보험 위험액 증가 2000억원 늘어 요구자본은 7000억원 늘었다.
국내 대부분의 보험사는 RBC비율이 100%를 웃돌며 양호한 재무건전성을 보였다.
회사별로 보면 생보사 중에서는 DB생명의 RBC비율이 169.0%로 가장 낮았다. 손보사 가운데서는 MG손해보험이 86.5%로 100%를 넘지 못했다.
MG손보는 이와 관련해 지난 5월 금융위원회로부터 경영개선권고를 받아 올해 9월 말까지 RBC 비율을 100% 상회할 수 있도록 유상증자를 하겠다는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하지만 유상증자를 이행하지 않아 금융위로부터 경영개선요구를 받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RBC비율 취약이 예상되는 일부 보험회사는 자본확충, 위기상황분석 강화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재무건전성을 제고토록 감독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