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금리인상횟수 3회에서 2회로 하향 조정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9일(현지시간)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2.0~2.25%에서 2.25~2.5%로 0.25%포인트 올렸다. 또 내년 인상 횟수를 3회에서 2회로 하향 조정하고 성장률 전망치도 낮췄다.
한국은행은 연준이 내년 금리인상 횟수를 줄인 것과 관련해 예상외의 결과는 아니라며 앞으로 금융시장 상황과 자본유출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사실상 시장에서는 이번 인상 여부보다 앞으로의 금리 인상 방향 메시지에 관심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라며 내년 인상 횟수를 하향 조정한 FOMC의 결정에 대해 "예상외의 결과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앞서 미 연준은 기준금리를 연 2.25∼2.50%로 0.25%포인트 올렸다. 올해 들어 4번째 인상이었다. 이로써 한국과 미국 금리 역전 폭은 0.5%포인트에서 0.75%포인트(상단기준)로 다시 벌어졌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금리 정상화 속도는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 늘 통화정책에 고려한다"면서도 "꼭 금리가 얼마 이상 벌어지면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아울러 내년도 금리인상 횟수(점도표)를 기존 3회에서 2회로 햐향 조정한 것에 대해 이 총재는 "시장 평가를 보면 (점도표가) 하향 조정됐지만 앞으로의 금리인상 경로 전망이 생각보다 '도비시(비둘기)'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경제지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만큼 이번에 지시된 내년도 금리인상 경로가 그대로 갈지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연준은 성장률 전망치도 낮췄다. 연준은 정책성명서에서 "연방기금 금리 목표범위의 일부(some) 추가적인 점진적인 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면서도 '글로벌 경기 및 금융상황에 유의하겠다'는 문구를 성명서에 추가하고 향후 금리인상에 대해 추가금리인상을 '기대한다'는 문구를 '판단하겠다'로 수정했다.
파월 연준 의장은 12월 FOMC 결과 발표 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현 수준의 기준금리가 중립금리 추정치 하단에 도달했다"며 "기준금리가 중립범위 내에 있다면 향후 지표 결과에 주목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은은 이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개최해 FOMC 회의 결과에 따른 국제금융시장의 반응을 살펴보고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 등을 점검했다.
한은 관계자는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향후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계감을 갖고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과 자본 유출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